13일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년~2024년) 6~8월 사이 다슬기 채취 수난사고 관련 구조 활동은 59건이며, 이 중 14명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다. 허리춤까지 오는 얕은 하천에서 다슬기를 잡던 중 발을 헛디뎌 물살에 휩쓸리거나, 예상치 못한 물웅덩이에 고립됐다가 숨진 사례가 많다. 올해도 충북과 경북·강원 등에서 비슷한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5일 오전 9시 57분쯤 경북 문경시 가은읍 영강에서 다슬기를 잡던 80대 여성이 숨진 채 발견됐다. 지난 4일 오후 1시 30분에는 충북 청주시 미원면 운암길 감천에서는 다슬기 채집망을 착용한 60대 남성이 물속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지난달 30일 오후 10시 48분쯤 충북 보은군 보은읍의 한 하천에서 다슬기를 잡던 80대 A씨가 물에 빠졌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수색 1시간여 만에 심정지 상태인 A씨를 구조해 병원으로 옮겼으나, 끝내 숨졌다. A씨의 아내는 경찰 조사에서 “남편이 돌을 잘못 밟았는지 갑자기 미끄러지더니 사라졌다”고 진술했다. A씨는 아내와 100m 떨어진 지점에서 다슬기를 잡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날 오후 11시 53분쯤 경북 영천시 화남면 금호리 고현천 수중보 인근에선 다슬기를 잡던 80대가 숨진 채 발견됐다. 강원 인제군 상남면 미산리 계곡에선 지난달 28일 오후 5시 31분쯤 이곳에서 다슬기를 잡던 60대가 2m 깊이 물에 빠져 숨진 채 발견됐다.
“미끄럼방지 신발·구명조끼 착용해야”
하천 돌 틈이나 바닥에 서식하는 다슬기는 채집통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잡을 수 있는 수산물이다. 하지만 다슬기를 잡는 재미에 빠져 자기도 모르게 물살이 세거나 수심이 깊은 곳으로 들어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맑은 하천이나 계곡은 수심이 얕아 보여도 갑자기 깊어지거나 유속이 빠른 구간이 있어 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또 물속에서 오랜 시간 다슬기를 채취하다 보면 체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저체온증 등의 이상 증세를 보일 수도 있어 유의해야 한다.
소방당국은 “홀로 다슬기를 잡거나, 야간에 하천에 들어가는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충북소방본부 119특수대응단 관계자는 “하천에 있는 돌은 울퉁불퉁하고 이끼가 끼어있어서 실족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미끄럼방지 신발과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착용해야 한다”며 “익숙한 장소라도 어두워진 뒤에는 다슬기를 채취를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 ^경련 방지를 위한 입수전 준비 운동 ^식사·음주 후나 강우 등 수위 상승 가능성 때 다슬기 채취 금지 ^온열 질환 대비 모자 착용과 충분한 수분섭취 ^수난사고 시 즉시 119 신고 등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