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13일 “12·3 ‘친위 군사 쿠데타’는 전 세계를 두 번 놀라게 했다”며 “첫 번째는 세계 10위 경제 강국에서 대통령이 자기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친위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는 사실이었고, 두 번째는 그 총칼을 든 친위 군사 쿠데타 세력을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평화적으로 국민의 힘으로 이겨냈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28회 세계정치학회(IPSA) 서울총회에 참석해서다.
IPSA 총회는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에서 국제 정치학자를 포함한 3500여 명이 집결해 ‘정치학계 올림픽’으로 불린다. 이번 행사는 세계정치학회 주최, 중앙일보 후원으로 1997년 이후 28년 만에 서울에서 열렸다. 주제는 ‘양극화한 사회에서 독재화에 저항하기’다.
이 대통령은 이날 비상계엄 극복 과정을 묘사하면서 ‘K-민주주의의 저력’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그늘진 담벼락 밑에서도 기어코 빛을 찾아 피어나는 들꽃들처럼 내란의 극복 과정은 민주주의가 가진 진정한 힘과 희망을 확실하게 보여줬다”며 “국회를 에워싼 시민들은 맨몸으로 장갑차와 총칼에 맞섰고, 국회의원들이 국회 담장을 넘어 계엄 해제 의결에 나서도록 독려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한국민이 보여준 놀라운 회복력과 민주주의의 저력은 대한민국의 것인 동시에 전 세계인들의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의 미래를 구할 ‘K-민주주의’의 핵심 정신은 민주주의의 가치인 자유, 평등, 연대를 철저히 복원하는 것”이라며 “갈등보다는 대화를, 상처보다는 치유를, 대립보다는 화해를, 비난보다는 협력을, 혐오보다는 서로를 살피고 돌보는 상생의 가치를 회복할 때”라고 했다. 또 마지막으로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강조하며 “대한국민 DNA에 오롯이 새겨진 자유와 평등, 연대의 민주주의를 후대에 더 빛나게 물려줄 수 있도록 성큼성큼 전진하겠다”고 했다.
16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에선 ▶양극화된 사회에서 독재화에 저항하기 위한 학계의 역할 ▶뉴미디어 시대 대중과 팬덤 정치 등 1000개 이상의 세션(분과 토론)과 3000편이 넘는 국제 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14일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민주주의 리더십과 평화 및 정의에 대한 학술적 기여를 기념’하기 위해 올해 처음 제정된 ‘김대중상’ 시상식도 열린다. 캐나다 몬트리올 맥길대학교의 T V 폴 석좌교수가 수상자로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