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17개월 만에 돌아오는 의대생, 유급 취소 ‘난제’ 쌓였다

중앙일보

2025.07.13 08:26 2025.07.13 13:38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2일 대한의사협회에서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동맹 휴학’에 나선 지 약 1년5개월 만이다. 왼쪽부터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이 비대위원장, 김택우 의협회장,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 [뉴스1]
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 이후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복귀를 선언하며 의·정 갈등이 변곡점을 맞았다. 정부는 일단 환영 의사를 밝혔지만, 교육계는 실제 의대 교육 정상화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했다.

13일 김민석 국무총리는 페이스북에 “큰 일보전진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의료계도, 국회도, 정부도 더 깊이 문제를 살펴볼 시간”이라고 밝혔다. 앞서 전날(12일) 전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대한의사협회(의협), 더불어민주당 김영호(국회 교육위원장)·박주민(복지위원장) 의원과 함께 낸 공동입장문에서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감으로써 의대 교육 및 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해 힘쓰겠다”고 했다.

하지만 실제 복귀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복귀 시기, 방법 등을 포함한 복귀 방안은 학사일정과 교육요건, 의대 교육과정 특성을 고려해 대학과의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대학 입장에선 유급·제적을 두 달 만에 번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학들은 5월 7일까지 복귀하지 않은 학생을 유급·제적 처리하겠다고 밝히면서 “더 이상의 학사 유연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의대협은 12일 “계절학기, 방학 등을 활용해 수업일수 압축이나 날림 없이 제대로 교육받겠다”며 필수 수업일수 이수(연 40주)와 진급을 복귀의 전제로 언급했다. 지난달 말 기준 전국 40대 의대의 1만7명이 유급 대상에 올랐고, 3개대 853명은 이미 처분을 받았다. A대 부총장은 “사실상 학칙과 교육과정을 바꾸는 학사 유연화가 이뤄져야 복귀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복귀 학생을 위한 수업 마련도 쉽지 않아 보인다. 의대 교육과정은 1년 단위다. 특히 본과는 1학기에 기초과목을 배우고, 2학기에 연관된 심화 과목을 배우는 식이다. B대학 총장은 “이미 복귀 학생을 위해 1학기를 운영했는데도 복귀자를 위해 같은 수업을 추가 개설해야 한다. 분반해야 하는데 인력·공간 모두 여의치 않다”고 걱정했다. 다만 교양과목 위주인 예과는 24·25학번 분리 수업이 가능하고, 진급에 필요한 수업일수도 채울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다.

학교 안팎의 부정적인 여론, 복귀를 둘러싼 학생 간 갈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B대 총장은 “다른 단대, 학과라면 제적되고도 남았을 수업 거부 행위를 의대생이라는 이유로 감싸는 것에 대한 학내 반감이 높다”고 전했다. 지난 3월 수업에 복귀한 의대생 C씨는 “대놓고 복귀자를 거론하며 ‘기수열외’하겠다고 협박했던 이들과 함께 공부한다니 걱정이다. 정부를 믿고 복귀한 대가가 이런 거냐”며 울분을 터뜨렸다.





이보람([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