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주·완주 통합 배수진…김관영 지사 완주로 거처 옮긴다

중앙일보

2025.07.14 08:51 2025.07.14 13:53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전주·완주 행정 통합을 추진 중인 김관영 전북지사가 고향이자 현 주소지인 군산시를 떠나 완주군으로 거처를 옮긴다. 완주군의회 등의 반발로 통합 논의가 원천 봉쇄되자 현장에서 주민을 직접 만나 설득하기 위해서다. 오는 8~9월 통합 찬반을 묻는 주민 투표를 앞두고 김 지사가 배수진을 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4일 “김관영 지사가 사비를 들여 완주군 봉동읍 한 아파트에 보증금을 낀 월셋집(6개월 계약)을 구했다”며 “이달 20일 이사해 21일 전입 신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완주 살기’는 김 지사 아이디어로, 주민 등록지도 완주 아파트로 바꾸기로 했다고 한다. 김 지사는 도청(전주 완산구)으로 출퇴근하면서 일과 전후로 완주군민과 조찬·만찬 간담회나 길거리 대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겠단 구상이다.

전주·완주 통합은 1997·2007·2013년 세 차례 추진됐으나 완주군민 반대로 무산됐다. 김 지사가 2022년 6월 지방선거 때 지역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전주·완주 통합 재추진을 공약으로 내걸면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전북도는 지난해 7월 찬성(6152명)과 반대(3만2785명) 서명부가 담긴 전주·완주 통합 건의서를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에 제출했다. 현재 완주 인구는 약 10만명이다.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난 4월 “전주·완주가 통합되면 전북을 대표하는 거점 도시로서 인구 유출 완화와 산업 승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완주군 자치권이 훼손될 수 있다” 등 반대가 여전하다. 완주군은 아예 시(市) 승격을 추진하고 있다.

김 지사는 지난해 7월과 올해 3·6월 세 차례에 걸쳐 완주군민과 대화를 시도했으나 반대 측 주민 반발로 무산됐다. 하지만 전북도는 대선 이후 전주·완주 통합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른바 ‘5극 3특’ 국가균형발전 전략으로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 도시 선정도 유리한 상황으로 꼽힌다.

반면 험로도 예상된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지난 7일 ▶통합 시청사 완주 건립 ▶정부 통합 지원금 전액 완주 투자 등 완주군민협의회와 전주시민협의위원회가 공동으로 제안한 105개 ‘완주·전주 상생 발전 방안’을 수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유희태 완주군수는 “일방적 계획”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준희([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