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면서 여권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각각 보좌진 갑질과 논문 표절 논란에 휩싸인 두 후보자를 그대로 안고 갈 경우 여권에 부담이 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도 “구태의연한 ‘카더라’식, 막무가내식 인신공격과 음해, 국정 발목잡기에는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김병기 원내대표)는 공식 입장을 앞세웠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강 후보자 갑질 의혹과 관련해 “(강 후보자의) 전 보좌진이었던 두세 사람에 의한 언론 제보로 일방적으로 보도되는 상황”이라며 “(21대 국회 통계에 따르면 국회의원 한 명당 보좌진이) 1년에 6.8명이 교체된다”고 옹호했다.
하지만 문 수석은 “전원 통과하는 걸 희망한다”면서도 “그렇지만 ‘전원 다 낙마하지 않는다’가 대원칙은 아니고,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면 낙마할 수 있다”고 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도 이날 MBC 라디오에서 “청문회가 끝난 이후에 국민 여론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우 수석은 “어떤 경우는 ‘국민의 눈높이에 안 맞는 일이 있었구나’ 하는 그런 분들도 있다”며 “과거에 낙마했던 후보자들과 비교해 볼 때 어떤 수준인가도 점검해 보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검증 과정에서 저희가 미처 몰랐거나 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에선 “현실적으로 전원 통과는 어려울 수 있다”는 얘기가 나왔다. 민주당 초선 의원은 “몇몇 문제 있는 후보자까지 전원 통과 시 국민의힘이 강하게 비판할 텐데, 그건 민주당에도 부담”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갑질 논란은 피부에 와닿는 이슈라 얼마나 더 여론이 악화될지 우려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