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표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비동의 강간죄와 차별금지법 등 젠더 의제에 대해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며 유보적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뭘 하고 싶어서 장관이 되려 하느냐"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권 대표는 지난 14일 페이스북을 통해 "강 후보자가 비동의 강간죄·포괄적 성교육·차별금지법·생활동반자법 등 젠더 분야 주요 정책 의제들에 대해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라는 이유로 모두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며 "여성 의제를 나중으로 미루는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권 대표는 "비동의 강간죄는 21대 대선 기간 여성들이 가장 간절히 요구했던 정책 중 하나"라며 "지난 대선에서 비동의 강간죄를 공약한 후보를 만나 '죽지 않아도 되겠다'고 생각했다는 성폭력 피해생존자의 말이 강 후보자에겐 들리지 않느냐"고 했다.
이어 "아동·청소년 대상 포괄적 성교육에 대해서도 '교육 수요자의 다양한 의견'을 고려해야 한다며 역시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을 앞세웠고, 차별금지법과 생활동반자법 모두 대동소이한 답변을 내놨다"며 "딥페이크 성범죄 등 학교 현장에서 지금도 확인되고 있는 왜곡된 성 인식과 차별받는 소수자들의 고통이 강 후보자에겐 보이지 않느냐"고 덧붙였다.
권 대표는 "'사회적 합의' 운운한 정치인 중 그 합의를 앞장서 만들어 온 정치인은 없었다. 그것이 결국 '하지 않겠다'는 말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시민들은 모르지 않는다"며 "강 후보자의 태도는 여성가족부 정상화를 위해 싸워온 여성들을 배신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식 임명도 되기 전에 일부 남성들과 보수 교계 눈치부터 살피며 나중으로 미룰 일을 발표하는 장관에겐 기대할 것이 없다"며 "여성 의제를 나중으로 미루는 여성가족부 장관을 용납할 수 없다. 자진 사퇴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민주노동당은 갑질 의혹 및 거짓 해명 등을 이유로 강 후보자의 내정 철회를 촉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