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축구가 ‘일본 2.5군’에 졌다. 1954년 첫 대결 이후 사상 첫 한일전 3연패를 당했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23위 한국축구대표팀은 15일 경기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최종 3차전에서 일본(17위)에 0-1로 패했다. 전반 8분 일본 저메인 료(30·산프레체 히로시마)에 실점한 뒤 동점골을 뽑아내지 못했다.
이번 대회는 4개국이 풀리그를 치러 우승팀을 가렸다. 이날 경기 전까지 일본과 나란히 2승이지만 골득실에 2골을 뒤졌던 한국은 반드시 이겨야 6년 만의 대회 우승이 가능했다. 그러나 한국은 2승1패(승점6)에 그치며 안방에서 일본에 우승을 내줬다. 3전 전승(승점9)의 일본은 대회 2연패이자 통산 3번째 우승(2013, 22, 25)을 차지했다. 중국(1승2패)과 홍콩(3패)이 각각 3, 4위다.
2021년(평가전)과 2022년(동아시안컵)에 일본에 연속해서 0-3으로 졌던 한국은 ‘3연속 무득점 패배’ 굴욕도 당했다. 역대 전적은 한국이 우위(42승23무17패)지만 격차가 좁혀졌다.
전반 7분 한국 윙어 나상호(마치다 젤비아)의 슛이 골포스트를 강타한 지 불과 1분 만에 실점했다. 역습 상황에서 소마 유키(마치다 젤비아)의 크로스를 저메인이 왼발 발리슛으로 한국 골망을 흔들었다. 앞서 A매치 데뷔전이었던 홍콩과 1차전에 4골을 몰아쳤던 저메인은 미국 아버지와 일본 어머니를 둔 혼혈 공격수다.
홍명보 한국 감독은 이날도 3-4-3 포메이션으로 나섰다. 수비 불안을 해소하고자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쓸 수도 있다면서, 이번 대회 내내 스리백을 가동했다. 모리야스 하지메 일본 감독도 같은 스리백으로 맞섰다.
그러나 전반에 일본이 ‘빌드업의 유연성’과 ‘전술적 완성도’에서 한국보다 우위였다. 전방 압박도 훨씬 더 강력했고, 패스에서도 디테일과 퀄리티의 차이가 있었다. 전반 19분 한국은 어설픈 후방 빌드업이 차단 당한 뒤 수비진이 공을 제대로 처리 하지 못해 추가 실점할 뻔했다.
후반에 교체 투입된 장신 공격수 이호재(포항)와 오세훈(마치다 젤비아)이 ‘트윈 타워’를 이뤘다. 후반 39분 오세훈이 떨궈준 공을 이호재가 아크로바틱한 바이시클킥으로 연결했지만 골키퍼 선방에 막혔다. 그러나 ‘트윈 타워’는 최신 트렌드와는 거리가 먼 전술이다. 한국은 후반에 경기를 주도하며 공세를 펼쳤으나, 끝내 결과를 만들어 내지는 못했다.
이번 대회는 FIFA A매치 기간이 아니라서 유럽파 차출이 불가능했고, 한국은 K리거 위주로 꾸린 2군이었다. 일본의 한 기자는 “이번 일본 대표팀은 2.5군에 가깝다”고 전했다. 일본은 유럽파만 120명 이상이고, 1군에는 유럽 5대리그 소속 선수만 15명이다. 스코어는 0-1이었지만, 양국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다.
그나마 이번 대회 수확이라면 스리백과 새 얼굴 실험이다. 하지만 한준희 해설위원은 “스리백이든 포백이든 숫자 만의 문제는 아니다. ‘어떠한 압박과 빌드업 체계를 갖추느냐’가 더 중요하다. 일본은 1군이든, 2군이든, 3군이든 비슷한 철학을 유지한다”고 지적했다. 이동경은 “초반에 실점하면서 경기가 어렵게 갔다. 월드컵이란 큰 무대를 준비하면서 보완할 부분을 찾는 대회였다”고 했다.
이날 경기장엔 1만8418명이 찾았다. 한국 서포터스 ‘붉은악마’보다 일본의 ‘울트라 닛폰’의 수가 더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