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김명화의 테아트룸 문디] 공공극장의 품격

중앙일보

2025.07.15 08:10 2025.07.15 13:3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김명화 극작가·연출가
몇 년 전 대한민국 연극제 심사를 위해 경남의 한 도시에 간 적이 있었다. 주최지였던 그 도시는 연극에 대한 관심이 두터워 시에서도 적극적으로 연극제를 도와주었다.

문제는 극장이었다. 지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아름다운 극장으로 주변 환경도 자연 친화적이었고 분장실을 비롯한 내부시설도 좋았다. 그런데 막상 연극을 시작하자 울림 때문에 대사가 잘 들리지 않았다. 이것은 하나의 예일 뿐이다. 연극을 사랑하는 도시인데도 이 정도라는 이야기를 첨언한다.

다른 곳은 어떨까. 전국 대부분의 공공극장이 참으로 열악하다. 일차적인 이유는 극장 건립부터 관리의 편의상 여러 장르를 소화하려고 다목적용 공간으로 설계해서다. 게다가 극장 전문가의 조언을 듣지 않고 일반 건축업자들에게 맡겨, 외형적으로만 극장의 모습일 뿐 청각적 배려도 시각선도 정밀하게 고려하지 않은 극장이 대부분이다.

서울도 마찬가지다. 국립극단이 오랫동안 둥지를 틀어온 서계동의 극장은 정부가 그 터에 멋진 새 극장을 지어주겠다더니, 최근에는 정체성이 규명되지 않은 채 복합문화공간이 들어선다는 소문만 무성하다. 현재 국립극단은 위탁 운영하는 명동예술극장을 제외하곤 이 극장 저 극장을 옮겨 다니면서 더부살이를 하는 중이다. 심지어 사무공간은 남산에 외따로 떨어져 있으니, ‘국립극단’이라는 상징성을 입에 담기가 무색하다.

극장은 공연 예술을 담는 그릇이다. 제대로 된 극장이 없으면 공연 예술의 미래도 없다. 이제 관리의 편의성을 떠나 각 장르에 부합하는 전용공간에 대해 고민해야 할 시기다. 덧붙여 연극계에서 문화정책에 대한 불신의 씨앗이 된 국립극단 전용공간의 확보를 통해 현재의 불안정한 시스템을 극복하고 무너진 신뢰를 회복시켜야 할 것이다.

새 정부가 들어섰다. 실용주의 진보에 연극계의 기대도 크다.

김명화 극작가·연출가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