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이시바 시게루 정권이 위기에 놓였다. 오는 20일 치러지는 참의원(상원) 선거에서 과반 의석 확보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잇따라 나오면서다. 지난해 중의원(하원) 선거에 이어 최근 도쿄도의원 선거까지 대패한 상황에서 참의원 선거마저 참패한다면 ‘이시바 끌어내리기’가 본격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일본은 임기 6년의 참의원(총 248명)을 3년에 한 번꼴로 절반을 교체한다. 참의원 선거가 정권의 중간평가 성격을 띠는 이유다. 이번 선거에선 총 125명을 선출한다. 참의원 절반인 124석에 지난해 도쿄도지사 선거 출마를 위해 참의원직을 내려놨던 렌호 전 의원의 의석 1개가 추가되면서다.
이시바 총리의 목표는 125석 확보다. 선거에서 50명 이상을 당선시키고, 투표 대상이 아닌 의석(75석)을 더해 연립 여당(자민당+공명당)이 과반 의석을 달성하겠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아사히신문은 15일 이번 선거에서 자민당이 27~39석, 공명당은 6~12석을 얻는 데 그치며 과반 의석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최대 51석을 차지할 순 있지만 최악엔 33석을 얻는 데 그칠 수 있다는 얘기다.
민심 이반이 두드러진 곳은 1명을 선출하는 1인 지역구다. 선거전 초반만 하더라도 32개 1인 지역구 가운데서 자민당은 12곳에서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지만, 현재는 4곳으로 줄었다. 대신 접전지역(11곳→17곳)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우군’ 공명당 역시 마찬가지다. 아사히는 “(공명당은) 도쿄를 제외하고, 효고 및 후쿠오카 등 후보자를 세운 모든 선거구에서 접전이나 혼전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시바 정권을 위협하는 건 ‘일본인 퍼스트’를 내건 우익 성향 참정당이다. 2020년 세워진 이 당은 중의원 3석과 참의원 2석을 보유한 소수 정당이지만 최근 도쿄도의회 선거에서 약진하며 일본 정치판을 흔들고 있다. 외국인 토지 구매 제한, 단순 외국인 노동자 수용 규제, 영주권 취득 요권 강화 등 반(反)외국인 정책을 내세운다. 아사히는 “참정당이 비례를 포함해 8석 안팎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민당 텃밭인 보수층 표심을 가져가면서 세력을 늘릴 것”으로 전망했다.
시라토리 히로시(정치학) 호세이대 대학원 교수는 “(연립 여당이) 과반의석 달성에 실패할 경우 총리 책임론이 부상할 것”이라며 이시바 총리가 스스로 물러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