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제자 논문이 본인 연구물? 학위 품앗이?…이진숙 논문 의혹 셋

중앙일보

2025.07.15 19:44 2025.07.15 21:0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얼굴을 매만지고 있다. 뉴스1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제자 논문 표절’ 등 논문과 관련한 여러 의혹에 둘러싸여 있다. 이 후보자 측은 “충분히 소명할 수 있다”고 반박하나 학계 안팎에선 “연구 윤리 위반”이란 지적이 나온다. 이 후보자가 제자의 학위 논문과 상당히 유사한 내용의 연구물을 학술지에 게재하면서 자신을 ‘제1저자’로 올려 해당 제자의 학위 자격까지 흔들리는 상황이다.



①제자 논문 본인 성과로 둔갑?

이 후보자는 제자 2명과 2009년 3월 대한건축학회지에 ‘공동주택 야간경관조명 사례조사를 통한 조명디자인 감성평가’ 논문을 발표했다. 이 후보자가 연구 기여도가 가장 높은 ‘제1저자’다. 하지만 이 논문은 2명 제자 중 한 명인 A씨가 5개월 전인 2008년 10월 1저자로 발표한 석사 학위 논문 ‘공동주택 야간경관 조명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를 표절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가령 ‘현대인이 거주하고’로 시작하는 서론은 3분의 2 이상이 비슷하다. 또 18개 이미지를 어휘별로 7단계로 나눠 평가하는 방법과 서술 내용이 거의 일치한다. 제목 중 ‘야간’, ‘예시’ 등 일부 단어만 바뀌었을 뿐 내용이 같은 표와 이미지도 들어 있다. 제자 논문에 있는 ‘사용하고 않았으며’란 비문도 그대로 옮겼다. 그런데도 이 후보자는 A씨 논문이란 출처를 밝히지 않았다. 표절 검증 프로그램인 ‘카피킬러’로 두 논문을 비교하니 표절률은 52%였다. 학계에선 이 수치가 20% 이상이면 표절을 의심한다.

이처럼 이 후보자가 제자의 학위 논문인 점을 밝히지 않고 자신을 1저자로 내세워 학술지에 낸 논문은 현재 확인된 것만 8편이다. 2006년 한국색채학회지에 낸 ‘건축공간 표면요소에 대한 질감과 색채의 영향에 관한 연구’와 2005년 같은 학회지 속 ‘경관색채정비를 위한 지구별 건물색채 현황특성에 따른 지향 이미지에 관한 연구’ 등이 해당한다. 두 논문의 표절률은 각각 40%, 35%다. 이 후보자 논문 150편을 분석한 범학계국민검증단 한 관계자는 “제자 학위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할 때 본인을 1저자로 표기한 건 심각한 문제”라며 “이는 제자가 연구자로서 자격 없는 엉터리 학위 소지자임을 말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선서를 마친 후 선서문을 김영호 위원장에게 전달하고 있다. 뉴스1



②학위 품앗이 논란

이 후보자는 지난해 11월 타 대학 건축과 조교수 등 2명과 조명미디어학회에 ‘재난 재해를 대비한 신체적 약자의 체험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논문을 냈다. 역시 이 후보자가 1저자다. 이후 이 후보자 제자인 B씨가 올해 2월 박사학위 논문으로 ‘신체적 재난약자를 위한 안전체험공간 설계지침 설정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는데 앞선 이 후보자 논문에 살을 쭉 붙인 것으로 의심된다. B씨는 이 후보자 논문 작성에 참여하지 않았다.

신체적 재난약자를 위한 공간적 기준→유니버설 디자인 등 연구 흐름도 유사하다. 이 후보 연구진이 자체 제작한 ‘장애인 편의를 위한 규정연혁’ 등 여러 개 표도 B씨 논문에 쓰였다. B씨는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부분을 설명하면서 이 후보자 논문 출처 표시를 하지 않은 채 거의 유사한 문장을 군데군데 쓰기도 했다. 카피킬러가 잡아낸 표절률은 40%다.

범학계국민검증단에 따르면 이처럼 이 후보가 1저자로 참여한 학술지 논문 내용이 후에 제자가 낸 학위 논문 속 내용과 유사한 경우는 4건이다. 제자 논문의 표절률은 25~48%로 나타났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얼굴을 매만지고 있다. 뉴스1



③논문 재탕 의혹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실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2018년 2월과 3월 실험설계와 결론 등이 유사한 논문 두 편을 한국색채학회와 한국조명설비학회에 냈다. 두 논문은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와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문헌 유사도 검사 결과, 유사도가 35%로 나타났다. KCI 기준은 25% 이상이면 표절을 의심한다.

두 논문은 실험 설계를 비롯해 참여자 조건, 결론에서 같은 내용이 확인됐다. 결론을 예로 들면, ‘연출 불변시 지표등급은 배경휘도와 광원휘도간 휘도비가 낮거나 고면적·저조도의 연출에서 대부분 허용 범위로 나타났다’가 문제가 됐다. 하지만 참고나 인용 표시를 하지 않았다. 학계 일각에선 이런 경우 ‘논문 재탕’으로 의심한다. 교육부는 2015년부터 ‘부당한 중복게재’를 연구부정으로 규정하고 있다. 김민전 의원은 “연구 윤리 위반은 중대한 결격 사유”라고 했다.

이에 대해 이진숙 후보자 측은 “후보자가 2007년∼2019년 사이 작성한 논문들은 충남대 총장 임용 당시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윤리검증위원회로부터 ‘연구부정행위 없음’으로 공식 확인된 바 있다”며 “제기된 의혹들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충실하게 소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민욱.김창용([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