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후보자의 대북관을 문제 삼으며 퇴장했다.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는 대북관에 대한 질문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발단은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이었다. ‘대한민국 주적은 누구냐. 북한은 대한민국의 주적이냐’라는 질문에 김 후보자는 “주적은 대한민국을 위험에 빠뜨리는 세력”이라면서도 “주적이 아니라고 어제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말씀하셨고 거기에 동의한다”라고 답했다. 이어 “북한은 주적이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국방부 장관 후보자는 대한민국의 주적이 북한군과 북한 정권이라고 했는데 거기에는 반대하는 것이냐’는 이어진 질문에는 “국방부 장관 후보자께서 북한군이라고 말씀하셨지 않나. 북한군과 북한은 다르지 않나”라고 반박했다.
앞서 전날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인사 청문회에서 북한은 “주적이 아니라 위협”이라고 말했고,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는 북한 정권과 북한군이 대한민국의 주적이라고 못박았다.
이에 환노위 국민의힘 간사인 김형동 의원는 “가장 중요한 부분, 특히 ‘대한민국의 주적이 어디냐’에 대해 후보자가 의견 정리를 못 한 것 같다”며 정회하자고 했다.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도 “후보자 답변이 왔다 갔다 한다”며 “고용부 장관이 저런 생각을 갖고 있으면 (고용부가) 북한 노동당 남한 지부가 될 것 같다. 이런 우려를 해소해달라”고 말했다.
그러나 여당 의원들은 ‘색깔론’이라며 회의 진행을 주장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북한이 주적이라는 내용은 정권마다 달라진 문제인데 노동부 장관에게 왜 북한이 주적이라고 강요하느냐”며 “생각이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왜 이게 큰 문제가 되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정회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청문회장에서 퇴장했고 민주당은 단독으로 인사청문회를 진행했다.
한편 이날 김 후보자는 2011년 방북을 신청한 이유를 묻는 질의에 “김정일 당시 국방위원장의 조문을 위해서 신청했다”며 “조문을 하는 것이 남북관계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2010년 천안함 사건은 누구의 책임이냐’고 묻자 후보자는 “북한의 소행이라는 정부 발표를 신뢰한다”고 답했다.
이와 더불어 연평도 해전에서도 김정일 때문에 장병들이 희생됐는데 이들에 대한 조문은 갔느냐는 질의엔 “조문한 적 없다”며 “국무위원이 되면 장병들의 희생을 추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