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티반군 연계 무기상들, X·왓츠앱서 다년간 대놓고 불법 판매
X·메타, 명백한 불법 활동도 제지 안 해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예멘 후티반군과 연계된 무기상들이 소셜미디어 X와 메신저 왓츠앱에 온라인 스토어를 개설해 여러 해에 걸쳐 공공연히 무기를 판매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서비스를 운영하는 X와 메타플랫폼스(이하 메타)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미국 워싱턴DC에 본부를 둔 비영리기구 '테크 투명성 프로젝트'(TTP)는 15일(현지시간) 이런 내용을 포함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TTP는 예멘에서 개설된 X 계정 130개와 왓츠앱 비즈니스 계정 67개가 고화력 소총, 유탄 발사기 등 군용 무기들을 판매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런 예멘 X 계정 중 절반 이상은 후티반군이 장악한 예멘 수도 사나에서 개설된 계정이었으며, 일부는 게시물에서 드러내놓고 후티반군 지지를 표명하거나 후티반군 상징물을 노출하고 있었다.
판매 중인 무기 중 상당수는 미국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는 '미국 정부 재산', '미국제', '나토' 등 표시가 되어 있었다.
고객이 누구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일부 소총의 가격이 1만 달러(1천400만 원)가 넘어가는 등 고가라는 점에서 다른 무장단체일 가능성이 있다.
이란의 지원을 받는 후티반군은 미국, 캐나다 등에서 테러 조직으로 지정돼 있다.
X와 메타는 자사 플랫폼 내에서 무기 거래를 금지하고 있으며 테러 조직의 불법 활동을 장려하는 회원은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지만 이런 계정들에 대해서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일부 후티 연계 계정들은 X의 사주 일론 머스크와 직접 X에서 소통하기도 했다.
머스크가 2023년 9월에 저격용 소총을 발사하는 영상을 올리자, 후티 연계 무기상 계정 3개가 그에게 답장하는 방식으로 AR-15 등 자신들이 판매하는 무기를 광고하는 게시물을 올렸다.
케이티 폴 TTP 대표는 "X와 왓츠앱 양쪽 다 무기 판매를 금지하는 정책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가 테러 조직으로 규정한 집단과 연계된 판매상들이 자사 플랫폼에서 무기를 유통시키도록 허용하고 있다"면서 "일부 경우 이 회사들(X와 메타)은 자신들의 정책을 위반함으로써 미국의 국가안보에 위험을 야기하면서 이득을 보고 있을 수도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메타와 X 양쪽 다 이 문제의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는 자본과 도구와 인적 자원이 있는데도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임화섭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