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단절에 저항하고 당을 탄핵의 바다에 밀어 넣는 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스스로 거취를 밝히십시오.”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6일 당 현역 의원 4인의 실명을 언급하며 거취 정리를 요구했다. 당 지도부, 중진, 잠재 당권 주자 등을 인적 쇄신 대상으로 콕 집은 윤 위원장의 초강수에 만만찮은 충격파가 몰려오고 있다.
윤 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민의힘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3일 책임 있는 분들의 사과를 촉구했지만, 사과는커녕 과거와의 단절 노력을 부정하고 비난했다”며 “이들은 윤 전 대통령 부부와 단절하라는 당원 열망을 배신, 광화문 광장 집회 세력을 당 안방으로 끌어들였다”고 비판했다. 14일 탄핵 반대 시위를 주도한 ‘윤 어게인’(YOON Again) 관련 인사들이 주축이 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한 행사에 송언석 위원장과 정점식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와 중진들이 대거 참석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
윤 위원장은 “병 깊은 당을 다시 일어나지 못하게 숨통을 조이는 극악한 해당 행위”, “당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중진이란 분들이 혁신을 면피 수단으로 삼고 선동한다”는 등의 작심 발언을 이어갔다.
그러면서 1차 인적 쇄신 대상으로 4인을 지목한 그는 “제가 오늘 언급한 말(비판)을 보면 4인을 지목한 이유는 분명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쇄신 대상 지목은) 계속 있을 것”이라며 “본인이 사과하지 않을 뿐 아니라, 혁신을 깎아내리면 반혁신이자 쇄신 0순위”라고 강조했다. 향후 쇄신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사퇴할 것이냐는 물음엔 “저는 마지막 순간까지 있을 것이다. 당이 죽는 길로 가고 있기 때문에 얻을 것 하나도 없는 혁신위원장을 맡은 것”이라고 답했다.
윤 위원장이 1차 쇄신 대상으로 4인을 지목한 걸 두고 “혁신위 무용론이 퍼지는 상황에서 중량감 있는 4인을 직격해 위기감을 환기하려는 전략”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야권 관계자는 “지목된 4인은 탄핵에 반대하고, 윤 전 대통령 관저 집회에 참석하는 등 강성 여론 편에 섰다”며 “특히 혁신위의 사과 요구 등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던 인사들”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이들은 “탄핵 반대를 왜 사과하나”(11일 나경원), “언제까지 사과만 할 거냐”(11일 장동혁)며 윤 위원장의 사과 요구를 일축했다. 윤 위원장은 중앙일보에 “누구도 상처받지 않고, 아무것도 안 하고 가만히 있으면 당은 다 죽는 길”이라고 했다.
송 위원장은 이후 취재진과 만나 “어떤 취지인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서도 “혁신안은 비대위에서 최종 확정되는 과정을 거치게 돼 있다”며 수용 불가 의사를 내비쳤다. ‘광장 세력을 당 안방에 끌어들였다’는 윤 위원장의 비판에는 “전혀 공감 안 된다”고 했다. 국민의힘 고위 관계자는 “지도부는 의견 수렴에 애쓰는데, 본인 말을 안 듣는다고 저렇게 막 나가도 되나”라고 했다.
장동혁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지금 거취를 표명해야 할 사람은 강선우 여가부장관 후보자,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라며 “윤희숙 위원장의 오발탄으로 모든 것이 묻혔다”고 비판했다. 윤상현 의원도 페이스북에 “저를 치십시오. 저는 언제든 희생할 준비가 돼 있다”고 썼다.
이날 윤 위원장은 “국민의힘 의원 전원은 계파 활동을 근절하겠다는 금지 서약서를 20일 의원총회에서 국민께 제출하라”는 요구도 했다. 그는 “3년 전 친윤계가 의사 결정을 전횡하더니, 소위 친한계는 ‘언더 73’이라는 명찰을 달고 버젓이 계파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