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이진숙 “관행, 제1저자 당연” 교수들 "연구노트도 안써 궤변"

중앙일보

2025.07.16 02:18 2025.07.16 13:38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들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다.”

16일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는 본인에게 제기된 논문 표절 논란에 정면 반박하며 이렇게 말했다. 이 후보자가 이재명 정부의 첫 교육 수장으로 지명된 후 2주 간 교육계 안팎에선 논문 중복 게재, 자기 표절, 제자 논문 가로채기 등 다양한 의혹이 제기됐다. 이 후보자는 ‘학계 관행’이나 오해라고 해명하며 사퇴 요구에 선을 그었지만, 논문을 검증했던 교수단체 등은 즉각 “궤변”이라고 재반박했다. 이날 참여연대 등 진보 성향의 시민단체에서도 이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날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는 이 후보자의 논문 표절 논란을 둘러싼 지적이 이어졌다. 앞서 11개 교수·학술 단체 연합체인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지난 14일 “이 후보자의 논문 150개를 조사한 결과 총 16개에서 연구윤리 위반 문제가 확인됐다”며 이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검증단은 김건희 여사의 국민대 박사 학위 논문 등 논문 4편이 ‘표절’이라고 발표한 단체다.
정근영 디자이너

이 후보자는 청문회 시작부터 이공계 관행, 카피킬러의 낮은 신뢰성 등을 들며 표절 의혹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제자의 논문을 학회에 투고하며 자신의 이름을 제1저자로 올린 것에 대해서는 “충남대에서는 이공계의 경우 교수와 학생이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해야 학위(논문)를 낼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고 했다. 또 “논문을 작성할 때 이공계에서는 공동 연구자들끼리 논문 작성 기여도를 따지고 이에 따라 제1저자를 결정한다”고 주장했다. 언론과 검증단이 표절의 논거로 든 표절 판별 프로그램 카피킬러에 대해서는 “신뢰할 수 없다”며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정확히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야당은 역공에 나섰다.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은 “잘못된 저자 기재가 문제의 핵심”이라며 “이 후보자는 제자의 논문에서 교신저자가 아닌 1저자로 들어가있는데, 후보자 말대로 본인의 연구 기여도가 높다면 학생의 학위논문이 취소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연구노트를 직접 쓴 게 아니라면 (1저자 기재는) 지나친 욕심”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당 서지영 의원도 “범학계검증단은 이공계 현실도, 충남대의 연구윤리상황도 모르고 무지한 검증을 한 게 되느냐”고 반문했다.

학계에서도 유사한 반응이 나왔다. 건축공학 전공인 서울의 한 사립대 교수는 “실제 연구를 수행한 게 제자라면 교신저자나 지도교수로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지, 제1저자는 아니다”라고 이 후보자의 발언을 비판했다. 검증단 검증위원인 김경한 중부대 교수도 본지와 통화에서 “카피킬러만으로 검증한 게 아니라 표절 의혹이 있는 제자 논문과 1대1 수작업을 거쳐서 내린 결론”이라며 “궤변으로 가득찬 청문회”라고 비판했다.
14일 서울 중구 비앤디파트너스 서울역점에서 범학계국민검증단이 연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논문 검증 대국민 보고회에서 유원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이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이 후보자는 자녀들의 조기유학에 관련한 각종 의혹에 대해 사과했다. 이 후보자의 두 딸은 2006~2011년 연간 수천만원 수준의 등록금을 내야하는 미국의 한 기숙형 사립여학교를 다녔는데, 차녀의 경우 중학교 3학년 때 조기유학을 떠나 초중등교육법 하위법령을 위반한 사실이 확인됐다. 그는 이날 오전 청문회에서 “(중학교 때 홀로 유학보내는 게) 불법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저의 큰 실수였던 것 같다”며 사과했다.

해명에 불구, 이날 각계에선 이 후보자에 대한 사퇴 요구도 이어졌다. 이날 참여연대는 “제자 논문 표절 의혹에 따른 연구 윤리 위반과 자녀 조기유학에서 초ㆍ중등교육법 위반은 교육부 수장으로서 치명적인 결격사유”라고 비판했다. 80여개의 교육시민단체와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진보 성향의 교육대개혁국민운동본부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자녀를 연 1억 원의 학비를 내야 해 미국 최상류층만 다닐 수 있는 특권 학교에 보냈고, 제자의 연구 성과를 가로챘다는 지탄을 받고 있다”며 이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했다.



최민지.이후연.이보람(choi.minji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