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즈시마 고이치(水嶋 光一) 주한 일본 대사는 지난 14일 서울 성북구 주한 일본 대사관저에서 진행된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지난달 한·일 양국에서 열린 수교 60주년 리셉션을 통해 관계 발전에 대한 정상들의 의지를 느낄 수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일 간 어려운 문제도 분명 존재하지만, 해결을 위해 협력하는 자세로 대응하다 보면 안정적으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면서다. 인터뷰는 유지혜 외교안보부장이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Q : 이재명 정부는 전임 정부가 마련한 강제징용 피해 배상 방안인 ‘3자 변제’ 해법을 지속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일본 측 호응이 미진하다는 지적이 있는데.
A : “민간인 또는 민간 기업이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가 특별한 입장을 취하지는 않는다. 일본의 ‘게이단렌’(經團連·경제단체연합회)과 한국의 ‘한경협’(한국경제인협회)이 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을 창설해 다양한 교류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젊은 세대의 교류와 협력이 더 활발해지고 미래지향적인 관계가 되도록 뒷받침하고 싶다.”
(3자 변제 해법은 강제징용 소송에서 배상 확정 판결을 받은 피해자들에게 피고인 일본 전범 기업을 대신해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판결금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튿날인 지난달 4일 “국가 간 관계는 정책의 일관성이 특히 중요하다”며 사실상 3자 변제 해법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피고 기업을 비롯, 일본 기업은 아직 재원 마련에 참여하지 않았다.)
Q : 올해 하반기에 열릴 사도광산 추도식을 두고 우려가 있다.
A : “지난해에는 양국의 조정이 잘 안 돼서 따로따로 추도식을 연 데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 물리적인 제약도 있을 수 있겠지만, (올해는) 따로따로 추도식을 여는 것은 피해야 한다. 한국 정부와도 의사소통하겠다.”
(일본은 지난해 7월 조선인 강제노역 장소인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노동자의 희생을 기리는 추도식을 열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일본이 추도사가 빠진 무성의한 추도식을 진행하자 한국 당국자와 유족이 불참하면서 각각 반쪽짜리 행사를 진행했다. 한·일은 오는 9월 이후로 올해 추도식 일정을 협의하고 있다.)
Q : 일본이 의장국인 한·일·중 정상회의, 한국이 주최하는 오는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양국 정상이 상호 방문하는 셔틀외교가 복원될까.
A : “말씀하신 기회를 통해 대면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인 조정을 하고 있는 상황이 아니지만, 정상들의 의지가 있기 때문에 잘 조정될 것으로 생각한다.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한·일 수교 60주년 리셉션에 이 대통령이 바쁜 가운데 영상 메시지를 직접 보내고, 1000여명의 인사가 발걸음해준 데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
Q : 한·일이 6월 한 달간 양국 국민 전용 입국심사대(패스트트랙)를 시범 운영했는데.
A : “출입국 조치는 법적 고려 사항들이 있어 실행을 위해선 양국 간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 입국 원활화 조치의 효과가 확인되면 앞으로도 이런 시도를 계속할지 소통하며 결정하면 좋겠다.”
미즈시마 대사는 한·일 국민의 상호 호감도가 높아진 원인에 대해 “인적 교류가 늘어나면서 서로 이해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K-드라마, K-푸드, K-팝 등 한국 문화에 대한 일본 내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음식과 관련, 그는 “산낙지에도 도전해볼 의향이 있다”며 “홍어는 먹지 못할 것 같은데, 일전에 목포에 방문했을 때 신선한 홍어는 먹을 수 있었다”며 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