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노트북을 열며] 국민에게 ‘쏘아버린 포탄값’까지 요구하는 의대생

중앙일보

2025.07.16 08:16 2025.07.16 13:4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이에스더 정책사회부 기자
의대생 단체가 복귀 선언을 했다. 윤석열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학교 문을 나선 지 1년5개월 만이다. 지난 상반기 내내 의대생들의 복귀를 누구보다 바랐던 기자 입장에선 반가움보단 황당함이 컸다. 이미 지난달 대다수 의대가 종강한 시점이다. 이날 의대생 단체는 박주민·김영호 민주당 의원을 대동하고 “학사일정 정상화를 통해 의대생들이 복귀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대통령과 정부에 요구했다. 학사일정 정상화를 원한다면, 내년 1학기에 복학해 학업을 이어가면 될 텐데. 유급 처리 직전 나온 이들의 요구는 “유급 없이 진급하고 싶다”로 들린다. 공부는 안 했지만, 올 9월 의사 국가고시를 보고 의사 면허를 따고 싶다거나, 추가 시험을 열어달라는 걸까.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교육 총량이나 질적 차원에서 압축이나 날림 없이 제대로 교육받겠다는 의지” “학사 유연화와 같은 특혜와는 다른 입장”이라고 말했지만, 학사 일정 중간에 비집고 들어오는 것 자체가 특혜다. 게다가 1년 52주 중 절반 이상이 지난 시점에 무슨 수로 그 어렵고 양이 많다는 의대 공부를 ‘압축이나 날림 없이’ 마치겠다는 건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지난 12일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가운데)의 발언 모습을 박주민·김영호 의원이 바라보고 있다. [뉴스1]
이들 동맹 휴학 투쟁의 제1 명분을 생각해 보면 더더욱 의아하다. “의대 증원으로 교육의 질이 떨어질 것이니 학업을 이어갈 수 없다”던 의대생들이었다. 의대 정원이 2000명 늘어나면 정상적인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했던 그들인데, 이제 와 방학·주말 보강, 2~3부제도 좋다니. 전공의 없이 환자 보고, 복귀 의대생 가르치느라 지친 의대 교수들이 몸을 쪼개 이들까지 추가로 가르칠 수 있느냐는 차치하더라도, 교육의 질은 어떻게 되는 건가.

정부는 올 초 의대생들을 복귀시키려 여론 뭇매를 맞아가며 의대 모집인원을 동결했다. 의대생들 자존심까지 고려해 같은 학년 수업을 듣게 된 두 학번이 마주치지 않게 조정해줬다. 교수들은 의대생 집에 편지를 보내 ‘마지막 기회’라고 호소했다. 지난 5월까지 학교 문을 열어놨다. 일반 대학생이었다면 어림없었을 특혜다. 이런 초특급 특혜를 걷어찬 의대생들이 이제 와 내가 돌아갈 테니 대책을 마련하라 국민들에게 또 다른 특혜를 당당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 지사 시절인 2020년 했던 말을 곱씹게 된다. 당시 이 대통령은 의대 증원 문제로 의사 국시를 거부한 의대생들을 정부가 추가 시험으로 구제해주자 강하게 비판하며 “쏘아버린 포탄값 변상 요구는 승전국이 도발한 패전국에나 하는 것”이라 표현했다. “이익을 지키는 투쟁수단으로 포기해 버린 권리와 기회를 또다시 요구하는 것은 부당한 특혜요구”라면서다. 의대생은 이번에도 승전국이 될까. 국민들은 언제까지 패전국이 돼 고통받고 포탄값까지 물어줘야 하나.





이에스더([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