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논문 표절 논란을 해명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그는 이재명 정부의 첫 교육 수장으로 지명된 후 2주간 제기된 제자 논문 가로채기 논란 의혹에 대해 ‘이공계 관행’ 등을 들어 오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논문을 검증했던 교수단체와 학계에선 “궤변”이란 비판이 이어졌고, 참여연대 등은 그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이 후보자는 자녀의 불법 조기유학에 대해 “불법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큰 실수였던 것 같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의 두 딸은 2006~2011년 미국의 기숙형 사립학교를 다녔는데, 차녀는 중3 때 조기유학을 떠나 의무교육 기간 부모 동행 없는 유학을 금지한 당시 법 규정을 어겼다.
논문 관련 의혹엔 적극 해명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 이공계의 관행을 들어 “대부분 학생이 학위논문을 (발표)하기 전에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로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했던 연구들이다. (제가) 제1 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범학계 국민검증단’(검증단) 등이 사용한 표절 판별 프로그램(카피킬러)을 문제 삼으면서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전문가가 제외하면서 정확히 돌려야 유사율(표절률)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러 언론에서 2007년 이전 논문이 나왔길래 저도 돌려봤다. 전혀 타당치 않은, 10
%
를 겨우 넘는 표절률이 나왔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에 학계는 재반박했다. 건축공학 전공인 서울의 한 사립대 교수는 중앙일보에 “연구비를 수주한 게 교수라도 실제 연구를 수행한 게 제자라면 교신저자, 지도교수로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지 적어도 제1 저자는 아니다”고 꼬집었다. 연구비·아이디어를 제공했더라도 연구 수행에 보다 실질적인 기여가 없다면 제1 저자로 보기 어렵단 얘기다.
특히 ‘연구 중 학생들이 연구노트를 쓰고 자신은 수첩에 기록했다’는 이 후보자의 답변에 유원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이사장은 “연구노트를 안 썼다는 말은 제1 저자가 아니라는 말과 같다”며 “마치 요리를 해야 하는데 주방에는 안 있고 카운터에만 있었단 말”이라고 꼬집었다. 검증단에서 활동한 김경한 중부대 교수도 “카피킬러만으로 검증한 게 아니라 문제 논문 16개를 모두 읽었다. 수작업으로 하면 (표절률이) 더 높게 나온다”고 비판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은 “이공계 교수들에게서 전화가 많이 왔다. ‘연구 과제를 수주해서 학생 연구시키고 제1 저자로 만들고 난 교신저자를 했는데, 이렇게 사는 우리는 바보냐’고 하더라”고 전했다.
한편, 이 후보자는 국회에 두 자녀의 유학 비용 송금 내역을 제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자녀의 학비와 생활비 명목으로 총 69만 달러를 송금했다. 현재 환율로 약 9억8000만원, 송금 시점 당시 연도별 평균 환율로 약 7억2000만원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