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장관이 되면 곧바로 당정 협의를 통해 노란봉투법 개혁 입법이 추진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자리에서다. 노란봉투법은 파업으로 손해를 입힌 노조를 대상으로 기업이 손해배상 청구를 하는 걸 제한하고, 하청 노동자에 대한 원청의 책임을 강화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김 후보자는 “노란봉투법에 대한 기업의 우려를 알고 있다”면서도 “노란봉투법은 불법 파업을 조장하는 법이 아니고 불법의 근원을 제거해 현장에서부터 신뢰를 쌓는 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주 4.5일제에 대해서는 “가능한 곳부터 시범사업을 하고 지원하겠다”고 추진 의지를 밝혔다.
이날 청문회장에선 주적(主敵) 논란이 일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가 2011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당시 방북 시도를 한 점 등을 문제 삼았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남북관계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국민의힘 의원들이 “대한민국의 주적이 누구냐”고 묻자, 그는 “대한민국을 위태롭게 하는 모든 세력”이라고 답했다.
이어 ‘북한이 주적이냐’는 질문에는 “주적이 아니라고 어제 통일부 장관 후보자(정동영)가 말씀하셨고, 거기에 동의한다”고 했다. ‘국방부 장관 후보자(안규백)가 대한민국의 주적이 북한군과 북한 정권이라고 했다’고 되묻자 “국방부 장관 말씀에 동의한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 “대한민국을 위태롭게 한다면 주적”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천안함 사건’에 대해 “북한의 소행이라는 정부 발표를 신뢰한다”고 말했다. ‘연평해전’과 관련해선 “국무위원이 되면 장병들의 희생을 추모하겠다”고 했다. 한·미 동맹이 유지돼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물론이다”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