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저가철강 몰려올라"…캐나다, 철강제품 관세율쿼터 강화
韓 등 FTA 체결국 철강 제품도 전년도 수입물량만큼만 'FTA 적용'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캐나다가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위해 수입산 철강에 대한 관세율 쿼터를 강화하기로 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16일(현지시간) 온타리오주 해밀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관세율 쿼터를 넘어서는 외국산 철강에 50%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우선 캐나다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에서 생산된 철강 제품의 관세율 쿼터를 전년도 수입 물량 기준 100%에서 50%로 대폭 줄였다.
미국을 제외한 FTA 체결국에 대해서는 철강 제품의 관세율 쿼터를 전년도 수입 물량 기준 100%로 적용하기로 했다.
이 같은 쿼터를 넘어선 수입 물량에 대해선 5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한국은 지난 2014년 한·캐나다 FTA를 체결한 바 있다.
미국·멕시코·캐나다 간 협정(USMCA) 체결국인 미국과 멕시코에는 기존 관세율이 그대로 적용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고율 철강 관세 부과로 미국 시장에서 밀려난 중국산 저가 철강이 제3국에 대량 유입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에서 자국 철강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이다.
철강 업계에선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중국 등 철강 생산국이 다른 수요처를 모색하면서 글로벌 철강 시장의 안정성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지난달부터 관세율을 50%로 인상했다.
캐나다는 미국산 철강·알루미늄에 25% 보복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캐나다는 이웃 나라인 미국에 철강·알루미늄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나라다. 미 상무부 국제무역청(ITA)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미 철강 수출액이 가장 많은 나라는 캐나다로 71억4천만 달러(23%)에 달했다.
대미 알루미늄 수출은 캐나다가 지난해 94억2천만 달러(54%)로, 미국 전체 수입량의 과반을 차지했다.
카니 총리는 "캐나다가 의존(reliance)에서 회복력(resilience)으로 전환함에 따라 정부는 글로벌 무역과 공급망의 근본적인 변화에 직면해 산업이 더욱 회복력을 갖추도록 지원·강화하고 변화시키기 위한 일련의 주요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지헌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