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팔' 국제그룹 "이스라엘행 군수품 제공 금지할 것"
콜롬비아·남아공 등 12개국 성명…관련 회의엔 중국 등 30개국 참석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친(親)팔레스타인 성향 다자 협의체 '헤이그 그룹'이 이스라엘로의 군수품 제공을 금지하는 한편 가자 지구에서의 이스라엘 군사작전을 대상으로 한 독립적인 조사를 국제사회에 촉구했다.
헤이그 그룹은 16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공동 선언문에서 "우리는 이스라엘에 대한 무기, 탄약, 군사용 연료, 장비 등 물품의 공급 또는 이전을 방지하기로 합의했다"며 "이 금수 조처는 가자 지구에서의 집단학살과 전쟁 범죄로 이어지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선언문에는 볼리비아, 콜롬비아, 쿠바, 인도네시아, 이라크, 리비아, 말레이시아, 나미비아, 니카라과, 오만,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12개국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 국가는 이스라엘행 군수품 선적 선박의 항구 내 정박 불허, 이스라엘을 상대로 한 독립적이고 강력한 국제법적 조사, 이스라엘에 대한 지원을 막기 위한 모든 공공 계약 검토 등도 촉구했다.
헤이그 그룹 의장국인 콜롬비아의 구스타보 페트로 대통령 요청으로 전날부터 양일간 보고타에서 열린 관련 회의에는 중국을 포함해 총 30개국 대표단이 참석했다.
다만, 성명 참여 결정은 회의 참석국 자율에 맡겼다고 엘티엠포 등 콜롬비아 현지 언론은 전했다.
국제사회에서 헤이그 그룹의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다는 점과 이번 선언문에 국제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것을 고려할 때 회의 주목도는 떨어졌지만, 이스라엘의 군사 행동에 대한 책임을 묻는 목소리를 더했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고 EFE통신과 콜롬비아 카라콜TV 등은 짚었다.
헤이그 그룹 회의에 참석한 프란체스카 알바니세 유엔 인권특별보고관은 별도로 "전 세계 각국은 즉시 이스라엘과의 모든 관계를 검토하고 중단해야 하며, 민간 부문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고 AP통신은 보도했다.
앞서 미 국무부는 지난 9일 "미국이나 이스라엘의 동의 없이 해당 국가 국민에 대한 조사, 체포, 구금, 기소 등을 목적으로 국제형사재판소(ICC)와 직접적으로 협력했다"는 이유로 알바니세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
이에 대해 폴커 튀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를 비롯한 국제 인권 단체는 "의견 차이가 있더라고 건설적인 방식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를 비판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림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