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작년 1인당 가계 순자산 2억5251만원…일본 앞지를 듯

중앙일보

2025.07.16 22:09 2025.07.17 19:43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주택 가격 상승과 금융자산 증가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1인당 가계 순자산이 3.3% 늘어난 2억5251만원을 기록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4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은 1경3068조원으로 추산됐다. 이를 기준 인구 5175만명으로 나눈 1인당 순자산은 2억5251만원으로, 전년 대비 3.3%(801만원) 증가했다.

이 수치를 달러로 환산하면 약 18만5000달러로, 일본(18만달러, 2023년 기준)보다 많았으며 구매력평가 기준으로는 영국(23만3000달러)도 넘어섰다. 다만 미국(52만1000달러), 호주(40만~41만달러대), 캐나다, 독일, 프랑스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일본은 2024년 통계를 발표하지 않아 지난해 기준 비교가 불가능하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구성은 ▲주택 50.9% ▲주택 외 부동산 23.7% ▲현금·예금 19.4% ▲보험·연금 12.1%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부동산 자산의 비중은 전년 75.4%에서 74.6%로 소폭 줄었다.

비금융자산은 주택자산 중심으로 215조원 늘었고, 금융자산도 현금·예금(122조원)과 보험·연금(121조원)을 중심으로 263조원 증가했다.

한편, 가계뿐 아니라 기업, 정부 등을 포함한 전체 국민순자산은 2경4105조원으로 전년 대비 5.3%(1217조원) 증가했다. 부동산 자산은 2.6%(431조원) 늘어난 1경7165조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주택 시가총액은 3년 만에 반등해 4.2% 증가했으며, 그 가운데 수도권이 전체 증가분의 90.6%를 차지해 압도적인 기여도를 보였다.

수도권의 주택 시가총액 비중은 67.7%에서 68.7%로 1%포인트 상승했다.

남민호 한은 국민B/S팀장은 “부동산 가격 상승 전환과 해외 증시 호조,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이 모두 크게 증가했다”며 “2024년 순금융자산 증가폭은 582조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정재홍([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