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뉴질랜드, 기후변화 부동산 피해 '눈덩이'…정부지원 중단 검토

연합뉴스

2025.07.17 05: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홍수·산사태 피해 주택 등 보상 부담 커져…집값 하락 우려
뉴질랜드, 기후변화 부동산 피해 '눈덩이'…정부지원 중단 검토
홍수·산사태 피해 주택 등 보상 부담 커져…집값 하락 우려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뉴질랜드에서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홍수·산사태 등 자연재해에 따른 주택 등 부동산 피해 규모가 갈수록 커지자 뉴질랜드 정부가 앞으로 관련 피해를 보상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는 최근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부가 "이런 방식으로 사람들을 계속 구제할 수는 없게 될 것"이라면서 이 같은 정책을 고려 중임을 시사했다.
럭슨 총리는 앞으로 이런 재난을 관리할 방법을 찾아내고 책임 소재와 공동 책임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의 발언은 이달 뉴질랜드 남섬 일부 지역에서 홍수로 약 800가구가 피해를 본 후 복구 작업이 시작된 가운데 나왔다. 지방 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 홍수 피해를 본 농민 등에게 60만 뉴질랜드 달러(약 4억9천만원)씩 피해 보상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최근 수년간 기후 변화로 홍수·산사태 등 피해가 커지자 뉴질랜드 정부는 자연재해로 손해를 입은 부동산을 사들이는 데 수십억 달러를 지출해왔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문제는 이런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뉴질랜드의 기후변화 피해 조사업체 클라이밋 시그마에 따르면 2060년까지 뉴질랜드 내 최소 1만4천500 가구가 최소 한 차례 이상 홍수 피해를 입어 약 125억 뉴질랜드달러(약 10조3천억원)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와 관련해 뉴질랜드 환경부의 의뢰로 독립 위원회가 작성, 이달 초순 공개한 보고서는 향후 20년간의 과도기를 거쳐 2045년 이후에는 기후 변화 피해 고위험 지역의 부동산 자연재해 피해 보상·복구 지원을 중단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간 뉴질랜드의 정책 입안자, 연구원, 부동산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에 따른 피해 가능성이 집값에 반영되지 않은 위험이라고 경고해 왔다.
이제 뉴질랜드 내 부동산 기록에는 홍수나 산사태 위험 여부, 과거 발생 사례가 점점 더 많이 기록되고 있으며 취약 지역의 집주인은 집값이 떨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뉴질랜드 최대 도시인 북섬 오클랜드의 서쪽 외곽 타우파키 지역 주민인 그레이엄 매킨타이어는 자기 집과 25년 전 사들인 오클랜드 북쪽의 땅이 이제 폭우가 내리면 홍수에 휩쓸리곤 한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2023년 두 곳 모두에서 홍수 피해를 당한 매킨타이어는 정부가 자신의 집을 사주고 자신은 근처 도심지로 이사하고 싶어 한다.
매킨타이어는 "마치 파도가 밀려오는 것 같다"면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 팔 수도 없고 바꿀 수도 없다"고 한탄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진형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