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연합뉴스) 김지연 특파원 = 영국이 투표 가능 연령을 현행 만 18세에서 만 16세로 낮추기로 했다.
영국 노동당 정부는 17일(현지시간) 지난해 총선 기간에 공약했던 대로 다음 총선부터는 16세와 17세 청소년에게도 투표권을 주는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투표 연령 하향이 21세기에 맞게 민주주의를 현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국민 참여를 증진하고 민주주의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는 스코틀랜드 의회 선거, 웨일스 의회 선거에서 16∼17세도 투표권이 있지만 영국 총선에선 18세 이상만 투표할 수 있다.
영국이 마지막으로 투표 연령을 변경한 것은 21세에서 18세로 낮춘 1969년이었다.
키어 스타머 총리는 ITV와 인터뷰에서 "16, 17세는 일도 할 수 있고 세금도 낼 수 있는 나이"라며 "세금을 낸다면 그 돈을 어떻게 썼으면 한다거나 정부가 어떤 길로 가야 한다거나 말할 기회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영국의 16, 17세 인구는 약 150만명이다.
제1야당 보수당은 정부가 의회의 여름 휴회가 임박한 때에 이를 발표해 의회의 철저한 검토와 협의를 방해하는 성급한 결정을 했다고 비판했다.
스카이뉴스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모어인커먼의 여론조사에서 47%가 투표 연령을 16세로 낮추는 데 반대했고 28%만 찬성했다. 이 조사에서 75세 이상 응답자의 찬성률은 10%에 그친 반면, 18∼26세 'Z세대'는 49%가 찬성했다.
BBC에 따르면 투표 연령이 16세 또는 17세 이상인 나라로는 아르헨티나, 오스트리아, 브라질, 쿠바, 에콰도르, 인도네시아 등이 있다.
정부는 이번에 외국 세력의 정치 개입을 막기 위한 정책도 함께 발표했다.
정부안에 따르면 법인 등록이 되지 않은 단체가 500파운드(93만원) 이상 영국 정당에 기부하면 이를 의무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유령 회사를 통해 외국 기부자들이 영국 정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허점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또 선거관리위원회의 권한이 강화돼 정치자금 규정 위반자에게 과징금을 최대 50만파운드(9억3천만원)까지 부과할 수 있게 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지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