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룰라 "트럼프, 세계 황제 아냐…난 협상할 준비돼 있어"
前대통령 재판 비판 후 '50% 관세' 예고에 "트럼프 위협은 규약 벗어난 것"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브라질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50% 관세 부과 예고 방식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협상을 통한 양국 무역 긴장 완화 필요성을 역설했다.
룰라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게시물에 대해 저는 처음엔 사실이 아니고 가짜뉴스라고 생각했다"며 "(관세 예고 방식에) 매우 불쾌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가) 세계의 황제가 되기 위해 미국 대통령으로 선출된 건 아니다"라고 재차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공개한 서한에서 8월 1일부터 브라질에 5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이보다 앞서 룰라 대통령은 지난 7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진행된 브릭스(BRICS) 정상회의 기자회견에서 "미국과 같은 거대 국가의 대통령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를 겁박하는 건 매우 잘못된 일"이라며 "우리는 황제를 원하지 않는다"고 힐난한 바 있다.
룰라 대통령은 이날 인터뷰에서 미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 주장 외에도 브라질 내에서 진행되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 대한 쿠데타 모의 혐의 재판을 '마녀사냥'이라고 주장한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을 다시 한번 지적했다.
그는 "트럼프의 위협은 프로토콜(외교규약)을 벗어났으며, 제 전임자의 운명이 무역 협상의 대상으로 여겨져선 안 된다"면서 "브라질 사법부는 독립적이어서 대통령이 (법원에) 어떠한 영향력도 행사할 수 없는 데다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은) 개인 차원에서 재판을 받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지적했다.
이어 룰라 대통령은 미국의 관세 예고를 "아직 위기로 보진 않는다"면서 양국 정상간 대화를 통한 합의를 강조했다.
그는 "가장 좋은 건, 우리(룰라와 트럼프)가 테이블에 앉아 대화하는 것"이라며 "브라질은 강요를 수용하지 않으며, 양국 관계가 지금처럼 가서는 안 된다는 점도 분명하고, 저는 필요한 모든 걸 협상할 준비가 돼 있다"고 부연했다.
룰라 대통령은 또 이날 고이아니아주(州)에서 진행된 현지 대학생과의 만남 행사에서 연설을 통해 "'그링고'는 브라질 대통령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트럼프를 비판했다고 현지 언론 G1은 보도했다.
'그링고'(Gringo)는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권에서 영어권 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쓰인다. 현재는 다소 가치 중립적 의미로 '외국인'을 통칭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로 그 밑바닥엔 특히 미국인을 낮춰 부르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룰라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은, 내가 평생 각종 의제를 놓고 협상한 것의 10%도 협상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우리는 가장 문명적인 방식으로, 민주주의자가 응답하는 방식으로 미국에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림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