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초대내각의 윤곽이 잡히면서 이들이 보유한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크다. 역대 정권에서 부동산은 청문직 고위 공무원 인사 검증의 아킬레스건이었다.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지면서 낙마로 이어진 경우가 많아서다. 이재명 정부에선 부동산 문제로 낙마한 사례가 아직 없다. 대신 부동산으로 자산을 불린 이들은 적잖았는데, 그 방식도 다양했다.
대표적인 게 ‘역(逆) 갭투자’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김상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서울 강남권의 재건축 대상 주택을 사 수십억 원의 차익을 거뒀다. 해당 주택에 실제로 거주는 하지 않고 다른 아파트에 전세를 살며 1주택을 유지해 다주택 투기 논란은 피했다.
김정관 후보자는 2005년 서울 송파구 가락동 가락시영아파트를 5억원선에서 매입한 후 거주하지 않고 보유하다가 2018년 12월 완공한 헬리오시티 59㎡(약 24평)을 받아 2023년 15억원에 팔았다.
구윤철 후보자가 2013년 매입한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 56㎡도 지난해 1월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112㎡(약 43평)으로 재건축됐다. 구 후보자도 실거주는 하지 않았다. 김상환 후보자는 지난달 완공한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84㎡(약 33평)를 보유하고 있다. 김 후보자가 2015년 매입한 녹원한신아파트를 재건축한 단지다. 김 후보자는 해당 단지를 매입하고 5년 거주했다. 두 곳의 현 시세는 50억원이 넘는다.
다주택 부담이 없는 땅에 투자해 짭짤한 수익을 본 후보자도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2003년 서울 용산구 보광동 일대 도로부지 90㎡(약 27평)를 샀는데 6개월 후 한남뉴타운으로 지정되면서 ‘귀한 땅’이 됐다. 조 후보자는 당시 9000만원을 주고 산 이 땅을 2020년 11억2000만원에 팔았다.
속앓이하는 후보자도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는 1990년 경기 부천시 원종동 상가(19.74㎡)를 매입해 35년째 보유하고 있지만, 그간 재산신고에는 해당 상가의 임대수익이 한 번도 포함되지 않았다. 세를 놓을 수 없을 정도로 방치되다시피 해서다.
윤 후보자가 매입할 당시 해당 상가는 백화점으로 쓰일 건물의 일부였다. 하지만 1990년 문을 연 백화점이 1년 만에 부도가 났고 해당 건물의 소유주가 많은 탓에 각종 분쟁에 휘말려 리모델링이나 재건축도 어려운 상황이다.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당시 ‘쪼개기 분양’이 이뤄져서 소유주가 300명이 넘는다”며 “임대를 놓을 수도, 재단장을 할 수도, 팔 수도 없어 주인 입장에선 보통 골칫덩이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