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LA총영사를 비롯해 각국 주재 공관장들에게 일괄 사직서 제출을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외교부는 새 장관이 취임하는 대로 공관장 재신임 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지난 15일(한국시간) 각국에 주재하는 모든 대사와 총영사 등 재외공관장에게 재신임 절차를 밟기 위해 사직서를 제출해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이에 각국 공관장은 새 정부 출범에 따라 동일한 양식으로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새 정부가 들어서면 재외공관장은 일괄 사표를 제출하고 재신임 절차를 밟는다. 외교부는 일괄 사표를 받은 뒤 사직서에 대한 수리 또는 반려 결정을 내린다. 특임공관장 등을 제외한 외교부 소속 공관장은 새로운 근무지로 발령이 나기도 한다.
현재 외교부는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국회 청문회 통과를 기다리고 있다. 장관 후보자가 취임하면 공관장 재신임 절차 및 인사가 곧바로 진행될 예정이다.
LA총영사관(총영사 김영완)은 규모와 위상을 고려할 때 새 공관장이 임명될 가능성이 크다. LA총영사관은 직원만 약 55명일 정도로 전 세계 재외공관 중 규모가 큰 공관에 속한다.
그동안 새 정부가 출범하면 대체로 특임공관장 또는 대사급 외교부 인사가 LA총영사로 임명됐다. 김영완 총영사는 지난 2022년 3월 문재인 정부 때 부임해 윤석열 정부 때도 공관장을 이어 왔다. 총영사 임기는 통상 3년이다.
LA총영사관은 현재 공관 재건축 프로젝트, 민원 서비스 개선, 미국 정부의 반이민 정책에 따른 재외국민 보호라는 주요 과제를 안고 있다.
한인사회는 새 총영사 임명 시 한인 사회에 대한 이해 및 소통 능력, 전문성을 갖추고 적극적인 협력을 해나갈 수 있는 인사를 바라고 있다.
로버트 안 LA한인회장은 “남가주 지역은 한인 사회를 포함해 여러 이슈가 복잡하게 섞여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 “차기 총영사도 한인회, 동포사회와 적극 협력해서 더 많은 일을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안 회장은 “공식적인 업무 외에도 한인사회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행정적, 재정적 지원에 나서야 하는 게 총영사”라고 덧붙였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LA협의회 이용태 회장 역시 “무엇보다 한인사회와 소통 노력이 가장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앞서 지난 1일 외교부는 전 정부에서 임명한 주미·주유엔·주일·주영·주러 대사에게 2주 내 귀국하라고 지시했다. 〈본지 7월 2일자 A-4면〉 해당 주재국 대사들은 윤 전 대통령이 특별히 임명했던 특임공관장이다. 특임공관장은 대통령이 전문성과 자질을 갖췄다고 판단해 임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