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체 전력 소비량의 9.7%(2024년 기준)이다. 30%대를 넘나드는 유럽 국가들과 비교하면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한국전력공사가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한 전력량 54만9821GWh 가운데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5만3297GWh였다.
지역별로 재생에너지 자립률(전체 전력 소비량에서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북으로 51.3%였다. 제주(39.9%)와 강원(37.5%), 전남(24.8%)이 뒤를 이었다. 호남의 경우 전력망 문제까지 겹치면서 장차 전력 생산을 중단할 정도로 잉여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올 정도다. 이 때문에 정부가 추진 중인 RE100 산업단지의 유치전에서 호남이 유력 후보로 꼽히고 있다. 반면 수도권은 전체 전력의 40%를 소비하지만, 재생에너지 자립률은 1.9%였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울산(6GW), 전남 영광(3.2GW), 고흥(1GW) 등 전국 100여 곳에서 34GW 규모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 중이다.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34기 규모와 맞먹는 수준이라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다만, 재생에너지 시설 유치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반대도 만만치 않다. 지난 11일 전남 고흥군 어민들은 1.5t짜리 어선 5척을 화물차에 싣고 서울 서초구 과천대로 남태령 인근에서 반대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해상풍력 건설과 발전기 가동 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회유성 어류가 차단되고, 부유물 발생으로 김 양식어업 등이 큰 타격을 입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자체 이익, 주민 대표성 등을 고려해 얼마큼 실효성 있게 중재를 할 수 있냐가 중앙 거버넌스의 역할이 될 것”이라 했다. 전형준 더나은소통 대표는 “일시적 보상보다 지분투자 형식 등 수용성을 높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