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러시아가 서방 국가의 디지털 플랫폼을 규제하기 위해 메신저 서비스인 왓츠앱 사용을 제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안톤 고렐킨 러시아 하원(국가두마) 정보정책위원회 부위원장은 18일(현지시간) 텔레그램 게시물을 통해 "왓츠앱은 러시아 시장을 떠날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왓츠앱이 러시아에서 극단주의 단체로 지정된 미국 기업 메타가 운영하는 서비스고 '비우호 국가'와 연관 있어 러시아의 제한 소프트웨어 목록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며 이같이 밝혔다.
러시아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개시 이후 자국에 제재를 가한 국가를 대거 비우호국으로 지정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최근 비우호국의 소프트웨어, 특히 통신 서비스 제한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러시아는 또 메타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테러리즘과 러시아 혐오를 조장한다며 '극단주의'로 지정하고 러시아 내 활동을 금지한 상태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왓츠앱은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그리고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서비스로 이용률 1위"라며 "모든 서비스는 러시아 법률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렐킨 부위원장은 왓츠앱이 러시아 시장을 떠나면 러시아 정부가 지원하는 메신저 서비스 '맥스'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이터 통신은 러시아인의 68%가 왓츠앱을 매일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맥스는 러시아가 왓츠앱과 텔레그램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 중인 메신저로 각종 정부 서비스와 연계된 플랫폼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는 자체 메신저 개발로 디지털 주권을 지키고 보안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
로이터, dpa 통신은 러시아가 국가 메신저 확산을 위해 왓츠앱과 텔레그램의 데이터 속도를 늦출 가능성이 거론되며, 러시아가 맥스 이용자들의 활동을 추적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최인영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