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기록적인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자동차 침수 피해가 잇따랐다. 갑작스럽게 차량이 침수 피해를 입을 경우 당황하기 쉬우므로 미리 대처법을 알아두면 유용하다.
20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침수차는 내연기관·전기차 모두 시동을 켜지 않은 채 최대한 빠르게 정비를 맡겨야 한다.
내연기관차의 경우 엔진룸까지 물이 들어찬 침수차들은 수리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전손 처리될 가능성이 높고, 일반적으로 폐차된다.
침수 피해가 크지 않아 정비를 한다면 엔진오일 등과 냉각수, 연료를 모두 1~2차례 교환하는 것이 좋다. 각종 배선은 커넥터를 분리한 뒤 깨끗이 닦아내고 말려 윤활제를 뿌려야 한다. 침수의 가장 큰 후유증인 차량 부식을 막기 위해서 건조 후 코팅 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
경유차의 경우 매연저감장치(DPF)도 점검 대상이다. 차체 하부가 부분 침수됐다면 DPF 클리닝을 해 오물 등을 제거해야 한다. 제대로 손보지 않아 DPF가 파손되면 미세먼지 저감 성능이 떨어지고 추후 교체하는 데 큰 비용이 든다.
전기차의 경우 침수 후 완전히 건조된 뒤라도 전문가의 정비를 받기 전에는 충전하거나 고전압 배터리·케이블 등을 직접 만져서는 안 된다. 배터리와 모터, 회로, 기판 등 각종 전기 장치에서 전극 간 합선과 시스템 오동작 등으로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중고차 시장에서 침수차가 판매될 가능성도 있다. 침수 차량은 국토교통부·교통안전공단 '자동차365'나 보험개발원 '카히스토리' 사이트에서 침수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자차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차나 차주가 보험처리를 하지 않고 수리한 경우 침수 여부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중고차 구매 시 침수차를 구별하기 위해선 차량 하부나 내부 바닥에 녹이 슬었는지와 흙탕물 흔적이 있는지를 점검해야 한다.
퓨즈박스에 흙먼지가 쌓이거나 부식됐는지, 안전벨트를 끝까지 당겼을 때 진흙 흔적이나 물때가 있는지도 봐야 한다. 침수 이후 안전벨트나 부품 등이 교체됐을 수 있기 때문에 교환 여부도 점검해야 한다. 창문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유리 틈 사이를 조명으로 비춰 내부 오염물을 확인하고 바닥 매트를 걷어내 바닥재가 오염됐는지도 확인하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