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與, 주식양도세·법인세 원상복구 엇박자?…'신중론'도 고개

중앙일보

2025.07.20 23:10 2025.07.20 23:1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세수 부족 해소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감세 정책 원상 복구를 추진하는 가운데, 당내에서 일부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은 최근 전임 윤석열 정부의 감세 정책을 원상복구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민주당에선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원에서 이전의 10억원으로 되돌리고 ▶2022년 세법 개정을 통해 1%포인트 인하(25%→24%)된 법인세 최고세율을 다시 원상복구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문진석 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21일 KBS 라디오에서 "최근 세수가 덜 걷힌 이유는 경제가 어려워서도 있겠지만, 법인세 인하 등 무분별한 부자 감세 조치가 가장 큰 원인"이라며 "대통령께서도 나라에 돈이 없어 국정을 운영하는데 큰 걱정이라고 하셨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법인세 원상복구만으로는 세수 부족을 메꿀 수 없을 것"이라며 "대주주 기준 원상복구 등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17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법인세 원상 복구와 관련한 질의에 “응능부담(應能負擔·납세자의 부담 능력에 맞는 과세)이라든지 효과 등을 따져 종합적으로 적극 검토해보겠다”고 답했다. 민주당에서는 이밖에도 금융투자소득세 도입을 전제로 인하됐던 증권거래세 역시 원상복구 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스1
하지만 이같은 증세 기조에 대한 반대 의견도 나왔다. 이언주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법인세는 산업 공동화 상황에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가 나쁠 때는 민간이 세금을 부담하기가 굉장히 어렵고 별로 효과도 없다”는 이유다.

이 최고위원은 “사실 이럴 때는 정부가 재정을 통해서 역할을 하는 것이 맞다”며 “정부가 경기를 부양해서 재정을 쓰게 되면 적자가 생기는데, (그때) 다시 세금을 내달라고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집권한 지 얼마 안 됐는데, 지금 증세 이야기가 나올 만한 시기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한영익([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