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1일 경남 산청의 호우 피해 현장을 찾아 “당장 구조가 문제고, 두 번째는 응급 복구, 세 번째로는 생활터전 복구를 지원해 줘야 한다”며 “이재민이 복귀하는 것도 중요하니까 (관계 부처는) 최대한 역량을 동원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3시쯤 노란색 민방위복 차림으로 경남 산청군 산청읍 행정복지센터에 마련된 통합지원본부를 찾았다. 이 대통령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과 박완수 경남지사 등으로부터 현황 보고를 받은 뒤 “왜 피해가 읍 지역에 집중되었느냐”라고 물으며 지형과 강우 양상, 산불 피해 연관성 여부 등을 일일이 체크했다. 이 대통령은 또 “인력이나 장비, 물품 등 부족한 게 없느냐”고 물으며 정부 차원의 신속한 지원을 당부했다.
경남 산청은 19일 하루 383㎜의 폭우가 집중돼 10명이 숨지고 4명이 실종됐다. 희생자 대부분이 산기슭에 쓸려 내려온 토사에 매몰돼 사고를 당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산사태 피해를 당한 주민들도 직접 찾아가 위로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공무원들이 나서서 어르신을 등에 업고 대비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한 주민의 이야기를 전해 듣고, 현장 관계자를 격려하며 “조기 대처로 피해를 줄인 사례를 조사해 달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또 “시급한 예산 지원 등 모든 자원과 행정력을 총동원해 피해 주민을 신속히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윤 장관은 “오늘 저녁까지 조사를 마치고 내일(22일)이면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수해 피해를 당한 광주광역시와 전북특별자치도, 전남과 경남에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 지급 계획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집중 호우 피해를 계기로 대통령실은 정부의 재난 대응 시스템도 정비할 계획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기후 변화로 극한 호우가 일상이 된 만큼 재난 대응 체계의 신속한 정비와 변화가 필요하다”며 “국지성 폭우가 일반화된 만큼 지역 특성에 기반을 둔 맞춤형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재난 대비 과정에서 공직 기강 확립도 재차 주문했다. 대통령실은 지난 17일 새벽 40대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된 사건을 경찰이 곧바로 전파했는데도, 세종시가 발생 23시간 동안 인지하지 못한 한 상황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 강 대변인은 “세종시의 재난 컨트롤타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사고 자체를 한참 늦게 인지했고 제대로 보고하지도 않았다”며 “만일 심각한 공직기강 해이나 잘못이 발견된다면 엄중하게 책임을 묻고 철저한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