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 아프간 남부서 인형 등 반이슬람적 장난감 판매 금지"
美매체 아무TV 보도…"도덕경찰이 장난감 가게 수시 단속"
(서울=연합뉴스) 유창엽 기자 =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는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조직 탈레반이 남부 칸다하르주에서 인형과 축소형 모형 등 일부 어린이 장난감의 판매를 금지했다고 미국 매체 아무TV가 22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주도 칸다하르의 소식통과 장난감 가게 주인들은 탈레반 도덕 경찰이 반복적으로 가게를 찾아 일부 장난감은 반이슬람적이라며 판매 금지를 강요했다고 전날 밝혔다.
판매 금지된 장난감은 인형, 사람 및 동물 축소 모형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탈레반 관리들은 이들 일부 장난감이 이슬람 율법상으로 부적절하다고 오래 전부터 비판해왔다.
수도 카불에 이어 아프가니스탄에서 두번째로 큰 도시인 칸다하르에선 탈레반의 이같은 조처 때문에 악화한 경제 상황이 더욱 나빠지고 있다고 가게 주인들은 말했다.
한 가게 주인은 "(탈레반의) 이번 결정으로 상황이 더욱 악화했다"며 "우리는 간신히 연명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탈레반 당국은 이번 조처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아무TV는 전했다.
칸다하르시에서 1994년 출범한 탈레반(파슈튠족어로 '학생들'이란 뜻)은 옛 소련군 철수 이후인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처음으로 집권했다. 이어 2001년 9·11 미국 본토 테러 후 미국 침략으로 권좌에서 쫓겨났다가 미군이 20년 만인 2021년 8월 철수한 뒤 재집권했다.
탈레반은 재집권 후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를 엄격히 해석, 여학생의 중학교 진학을 금지하는 등 각종 인권침해적 조처를 했다.
이 때문에 국제사회는 탈레반 정부를 공식 인정하지 않아왔다. 다만 러시아는 지난 3일 세계 최초로 탈레반 정부를 공식 인정, 외교관계를 맺었다.
또 국제형사재판소(ICC)는 지난 8일 하이바툴라 아쿤드자다 탈레반 최고 지도자와 압둘 하킴 하카니 아프간 대법원장에 대해 반인도적 탄압 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아프가니스탄은 ICC 회원국이지만, 탈레반 당국은 ICC를 인정하지 않아 영장 집행을 강제할 수단이 없는 상황이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유창엽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