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대만이 이스라엘 정착촌에 자금 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자유시보와 연합보 등 대만언론은 소식통을 인용해 대만 정부가 요르단강 서안 유대인 정착촌에 대한 의료센터 건립 지원을 약속했다고 22일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리야핑 주이스라엘 대만 대표가 이달 초 요르단강 서안 유대인 정착촌 48곳을 관할하는 빈야민 지역 의회를 방문해 건강 의료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지원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만이 약속한 기부금이 요르단강 서안 인근 샤아르 빈야민 정착촌의 나나시 메디컬 센터에 지원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대만-이스라엘 의원 우호협회' 회장을 맡았던 린위팡 전 입법위원(국회의원)은 매우 민감한 이 지역에 대만이 어떤 이유로 처음으로 직접 기부를 하겠다고 나섰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어 대만이 국제적으로 비난받는 이스라엘 정착촌에 대한 자금을 지원하면 아랍국가들은 대만이 이스라엘의 행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판단해 앞으로 대만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며 국익을 고려하지 않은 지원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전문가는 대만의 이런 행동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와 친이스라엘 세력을 지지하는 전략적 일치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했다.
반면 국제 사회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대만 외교부는 이달 6일 리야핑 대표의 해당 지역 시찰이 영접에 나선 빈야민 행정구역 수장의 요청으로 해당 지역의 인도적 의료 인프라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어 양측이 의료 협력과 관련한 "폭넓은 의견을 교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만은 세계보건기구(WHO)의 회원국은 아니지만 WHO의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리야핑 대표는 이스라엘의 법적 영토 바깥에 위치한 정착촌에 대한 의료시설 지원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언론은 대만 정부의 발표를 인용해 아직 의견 교환 단계인 것으로 파악되며 주이스라엘 대만 대표부가 기부 약속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내다봤다.
민족주의적 성향의 유대인 정착민은 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점령한 서안 지역에 정착촌을 조성해 거주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를 불법으로 간주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철문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