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SCMP 지적…"올해 목표 위성 648개인데 현재 90개 불과"
미국과 큰 격차…"中 운반 로켓 부족과 기술적 문제로 지연"
"美스타링크 대항마 中 '첸판 위성 프로젝트' 계획 위기"
홍콩 SCMP 지적…"올해 목표 위성 648개인데 현재 90개 불과"
미국과 큰 격차…"中 운반 로켓 부족과 기술적 문제로 지연"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미국 '스타링크'의 대항마로 불리는 중국의 '첸판(千帆·1천개의 돛·G60) 프로젝트'가 운반 로켓 부족과 기술적 문제로 위기에 처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3일 보도했다.
SCMP는 당초 계획대로라면 상하이 시정부 지원을 받는 위안신위성과학기술이 올해까지 총 648개의 첸판 위성을 쏘아 올려야 하지만, 현재 90개에 불과하며 현재로선 목표 달성은 불가능해 보인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2030년까지 1만5천개 이상의 위성 배치 목표를 세운 위안신위성과학기술은 2027년까지 1천296개의 위성을 발사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으며 이를 위해 매월 30개 이상 발사해야 한다.
스타링크보다 낮은 고도에서 운용되는 우주 인터넷망인 첸판 프로젝트는 주파수 독점 방지를 위한 국제 규정에 따라 위성 운영자인 위안신위성과학기술이 궤도와 무선 주파수를 확보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특정 비율의 위성군(群)을 배치해야 하지만, 현재로선 사정이 여의찮다는 것이다.
SCMP는 익명의 엔지니어를 인용해 "운반 로켓이 크게 부족하고, 중국 내의 위성 제조 및 발사 용량이 폭발적인 위성 배치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상태"라면서 첸판 프로젝트의 위기도 이와 관련이 있다고 짚었다.
미국의 경우 스타링크 운영사인 스페이스X가 위성 발사와 우주선 운송에 사용된 다목적 발사체인 '팰컨9 로켓'을 재사용하는 식으로 운용하고 있어 운반로켓 부족 현상이 없지만 중국은 그렇지 못하다고 덧붙였다.
일주일에 두 차례 띄울 수 있는 팰컨9 로켓은 한 번에 24개의 위성을 지구상 저궤도에 배치할 수 있지만, 중국 내에선 상업용 운반로켓이 없고 국영 제조업체가 만든 창정(長征) 계열 운반 로켓만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또한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SCMP는 미 공군 추적에 따르면 중국의 기술력 부족으로 이미 발사된 첸판 위성 90개 중 17개가 목표 고도인 1천70㎞에 도달하지 못한 채 800㎞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첸판 프로젝트는 중국 정부가 지원하는 '궈왕(國網·GW) 프로젝트'와도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 중국 내 제한된 위성 제조 및 발사 역량을 나눠야 하는 탓에 첸판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궈왕 프로젝트의 운영 주체인 중국 위성네트워크그룹(슝안)은 2024년 12월 16일과 2025년 2월 11일 각각 위성 18개씩을 쏘아 올렸으며 1만2천992개를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첸판 프로젝트는 2024년에 8월 6일, 10월 15일, 12월 5일 그리고 2025년 1월 23일, 3월 12일 산시성 타이위안 위성발사센터와 하이난 원창 우주발사장에서 각각 18개씩을 모두 90개의 위성을 쏘아 올린 상태다.
지구 상공 200∼2천㎞에 위성을 띄워 지상의 광케이블 수준의 반응 속도로 군사 통신망은 물론 재난 때 긴급 통신,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축 등에 활용하는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는 스타링크가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스타링크 위성 수는 현재 7천기 이상으로 추정되며, 2027년까지 1만2천기, 2030년까지 약 4만2천기를 갖춘다는 계획으로 전해졌다.
스페이스X는 이 위성들을 활용하여 전 세계 어디에서나 최대 1Gbps(초당 기가비트)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스페이스X의 일론 머스크 CEO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우크라이나에 스타링크 서비스를 제공해 화제가 된 바 있다.
스타링크에 이어 영국의 원웹도 600기가 넘는 위성을 배치해 위성 인터넷망을 구축하고 있다.
한편, 중국은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와는 달리 위치를 알려주는 위성항법시스템(GNSS)인 베이더우(北斗) 체계를 구축해 미국의 미국 위치정보시스템(GPS)에 맞서고 있다.
2000년 3개의 위성으로 중국과 주변 지역을 대상의 베이더우-1, 2012년 12개 위성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상의 베이더우-2에 이어 2020년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베이더우-3을 운용 중이다.
이에 대해 중국 당국은 위치정보 파악 시스템과 인터넷 서비스 확충이 목적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언제든 군사적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협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