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3일 의정 갈등으로 의료 현장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복귀 움직임을 보이는 것과 관련해 "복귀할 때 전 국민한테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인 박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 '이익선 최수영 이슈앤피플'에 출연해 "전공의들이 복귀할 때 국민적인 정서를 감안해서건 실제로 피해 받은 국민을 생각해서건 진심 어린 사과를 해야 된다는 입장"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전공의들을 복귀시키려고 하는 이유는 다 아시겠지만, 전공의가 전문의가 되는 것"이라며 "수련과정에 있는 이 친구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또 전문의가 배출이 안 된다"고 했다. 이어 "복귀하되 그동안 국민들이 입었던 상처 또는 피해에 대해서 심심한 사과를 하고 '성실히 수련해서 좋은 의사가 되겠다' 이런 것들을 절절히 표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대생에게 복귀를 위한 특혜를 줘서는 안 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원래 윤석열 정부에서는 수업시간이나 학점을 줄여서라도 학년을 진급시켜주겠다고 했었는데, 그런 혜택은 없다는 말씀들 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만 아무래도 미리부터 공부하고 있었던 분들에 비하면 들어오는 분들에게 뭔가 조치가 있어야 되는 거 아니냐는 국민적 감정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지금 상황은 평상시에 일년에 3000명 정도 배출되던 의사가 현재는 거의 250명대로 배출되고 있다"며 "국민 건강 자체가 심각하게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분들을 복귀시켜서 의사 배출에는 지장이 없도록 해야 되는 측면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 주셨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의대 총장들이 의대 본과 4학년이 추가로 의사국가시험(국시)을 치를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기로 한 것을 두고는 "추가 국시를 보는 방법 또는 실기시험을 조정하는 방법 등 두 가지 방안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실기시험이 어떻게 보면 시험으로서의 의미가 없다는 지적은 옛날부터 있었다"며 "많은 분이 뭔가 대단한 거로 생각하지만 대본 같은 걸 외우고 와서 시험을 보는 것으로, 미국 같은 데서는 시험으로 하지 않고 수업으로 대체한다는 것들"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래서 그런 부분에 대한 조정을 얘기하기도 하는데, 학교 측에서 그런 방법대로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하는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