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 동대문구와 소방 등에 의하면 지난 23일 오후 7시 35분쯤 동대문구 이문2동 복합청사 부설주차장 공사장에서 길이 5m, 깊이 2.5m, 넓이 13㎡의 지반 침하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인근 건물이 위태롭게 기울고, 밤중에 인근 건물 주민 36명이 급히 숙박시설로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24일 오전 8시쯤 현장을 가보니 땅이 내려앉은 공동은 흙으로 메웠지만 바로 옆 상가 건물은 출입이 통제된 채 기울어진 상태로 위태롭게 서 있었다. 건물의 창문 하나도 사고로 깨져 있었다. 지반 침하가 건물 바로 앞부터 시작됐기 때문이다. 좁은 골목 맞은편 공사 현장과 상가 건물 사이 약 2m의 공간이 그대로 내려앉았다.
전날 오전 9시 30분쯤에도 같은 장소에 미세한 지반 침하가 발생해 주변 지역 임시 복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임시 복구 작업을 한 땅은 하루도 되지 않아 저녁에 완전히 내려앉았다. 24일 오전 10시에 시·구 합동 지하자문단 회의가 이뤄졌으나 사고 원인은 자문단 내에서도 여러 의견이 나올 정도로 복합적이라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한다. 동대문구는 지반 등을 더 세밀하게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민들은 “걱정되고 불안하다”고 입을 모았다. 인근 건물에 거주하는 박애리(71)씨는 전날 밤 급하게 대피하던 순간을 떠올리며 “혼비백산한 상태로 속옷만 급하게 챙겨나오느라 혈압약도 못 챙겼다”고 말했다. 손녀를 포함한 네 식구가 같이 대피했다는 박씨는 “혹시라도 우리 집이 무너질까 걱정돼 어제 저녁부터 지금까지 식사도 제대로 못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인근에서 가게를 운영하는 김모(77)씨도 “땅꺼짐 생긴 곳이 지하철역 바로 앞이라 늘 지나가는데, 사고 원인을 모르니 조심하면서 다니는 수밖에 없지 않냐”며 고개를 저었다.
땅꺼짐 범위가 조금만 더 넓었거나, 상가 건물 가까운 지반이 내려앉았으면 건물이 무너질 수도 있었다는 주민 우려도 있다. 지반 침하 현장 안쪽 건물에 거주하는 고모(35)씨는 “어린아이들을 데리고 숙박시설에서 잘 수 없어 대피를 못 했는데, 걱정에 잠을 거의 못 잤다”며 “공사장과 바로 옆 가구들이 너무 붙어있어서 집이 흔들리는 등 늘 불안했는데, 조금만 옆 바닥이 꺼졌으면 우리 집이 무너질 수 있었던 거 아니냐. 당장 이사갈 수 있는 상황도 아니라 너무 불안하다”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만 총 72건의 지반 침하가 발생했다. 특히 서울에 기습 폭우가 내렸던 5월에 44건이 집중됐다. 한차례 폭우가 휩쓸고 지나간 지난 8일부터 10일, 인천 서구에서는 3일 연속 지반 침하가 발견됐다. 지난 19일 광주광역시 동구에서도 폭 1m가 넘는 대형 땅꺼짐이 발생했다. 광주에는 해당 땅꺼짐이 발생하기 이틀 전인 17일부터 사흘 동안 478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진 바 있다. 24일 국토교통부 지하 안전정보시스템에 의하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지반 침하 사고는 총 1398건이다. 절반에 달하는 672건의 사고가 여름에 일어났다.
강한 비와 공사 현장, 지하수 흐름 합쳐져 사고가 발생한다는 분석도 있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싱크홀은 이미 생겨있고, 폭우가 땅꺼짐 촉발 요인이 된 것”이라며 “사고 현장 근처에 있는 공사장으로 지하수를 따라 지반 밑의 흙이 흐르며 빈 공간이 생겼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