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조현 "한일·한미일 협력은 실용외교 중심축"…日외무상과 통화(종합2보)

연합뉴스

2025.07.24 02: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미국보다 먼저 통화…한일 "정상 셔틀외교는 물론 장관 간에도 긴밀히 소통"
조현 "한일·한미일 협력은 실용외교 중심축"…日외무상과 통화(종합2보)
미국보다 먼저 통화…한일 "정상 셔틀외교는 물론 장관 간에도 긴밀히 소통"

(서울·도쿄=연합뉴스) 김지헌 김지연 기자 경수현 특파원 = 조현 외교부 장관은 24일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취임 인사를 겸한 첫 전화 통화를 하고 양국관계 및 지역 정세 등을 논의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한일·한미일 협력은 한미동맹과 더불어 우리 정부 실용외교의 중심축이라며 양국 국민 간 상호 우호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보다 견고하고 성숙하며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이와야 외무상은 올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한 한일관계의 안정적 발전과 한미일 협력의 심화를 위해 앞으로도 계속 긴밀히 협력하길 바란다고 했다.
양국 장관은 지역·글로벌 정세 대응을 위해 양국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계속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하고, 정상 간 셔틀외교는 물론 장관 간에도 긴밀히 의사소통하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일본 외무성도 보도자료에서 양국 장관이 약 20분간 통화했다며 이와야 외무상이 조 장관의 취임에 축하의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또 양국 장관은 한일관계와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으며 이와야 외무상은 핵미사일 문제를 포함한 대북 대응에서 긴밀히 공조해 대응하고자 한다고 밝혔다고 외무성은 전했다.
조 장관이 취임 뒤 다른 나라 외교 수장과 통화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외교장관이 취임하면 통상 미 국무장관과 가장 먼저 인사를 나누지만, 일본과 먼저 통화하는 게 아주 이례적인 것은 아니다.
문재인 정부 시절 강경화 장관과 박근혜 정부 시절 윤병세 장관도 미국보다 앞서 일본 외무상과 첫 통화를 했다.
이번에도 일본과 통화 일정이 먼저 조율된 만큼 굳이 늦출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다음 주 방미를 추진 중이어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의 통화는 건너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조 장관은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과의 통화도 조율 중이다. 외교장관이 취임하면 과거엔 러시아와도 통화를 해왔지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22년부터는 통화하지 않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경수현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