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박한슬의 숫자 읽기] 유커 볼모 된 관광대국

중앙일보

2025.07.24 08:12 2025.07.24 13:31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박한슬 약사·작가
관광업계가 중국 단체 관광객 유커(游客) 맞이에 열심이다. 올해 3분기 시행이 예정된 중국인 대상 무비자 관광 허용이 임박해서다. 이런 기대감엔 절박한 이유가 있다. 2017년 사드(THAAD) 배치에 대한 보복 성격으로 한한령(限韓令)이 도입되자, 중국 관광객은 전년 대비 383만 명이나 줄었다. 이로 인해 관광업계 전반은 물론, 유커가 집중되던 명동 등지의 소상공인들까지 직격탄을 맞았다. 이번 조치로 유커 수요가 과거 수준으로만 회복돼도 업계에는 활기가 돈다. 하지만 특정 국가의 보복성 조치 하나에 관광산업이 휘청이는 구조가 과연 정상일까.

한국 방문객의 대다수는 아시아계다. 지리적 인접성 때문도 있지만, 한류(韓流)의 영향력이 가장 먼저 발현된 무대가 중국·동남아시아·중앙아시아 등지였기 때문이다. 2024년을 기준으로 보더라도 외국인 관광객의 81%가 이들일 정도로 비중이 크다. 그렇지만 같은 시기 비아시아계 국가 출신 관광객, 특히나 미국과 유럽 지역 관광객이 2014년 대비 약 100만명이나 늘었다. 이제는 개발도상국이 주변 문화강국을 찾는 게 아니라, 먼 외국의 문화 선진국 관광객들이 한국을 찾는 사례가 는 거다.

김영옥 기자
그렇지만 세부 데이터는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외래관광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중 재방문율은 54.7%였다. 그런데 미국(42%)은 물론 영국(40.2%)·독일(33.1%)·프랑스(30.7%) 같은 국가들의 재방문율은 평균보다 부쩍 낮다. 이들은 유커와 달리 95% 이상이 개별 여행 형태를 선호하는데, 길 찾기나 관광 정보 접근 등에서 반복적으로 불편을 겪는다. 국내 관광 안내 인프라의 문제도 있겠으나, 보다 근본적 원인은 구글맵이 한국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주요 선진국 관광객들이 국내외 여행 시 가장 자주 활용하는 앱이 먹통인데, 관광이 제대로 이루어지긴 당연히 어렵다.

구글맵이 한국에서 제한되는 이유로 안보 논리가 종종 제시되지만, 실제로는 국내 지도 서비스 산업 보호를 위한 오래된 무역 장벽에 더 가깝다. 유치산업(幼稚産業) 상태던 국내 IT산업을 구글 같은 글로벌 공룡이 잡아먹자는 걸 막자는 당대 애국심의 발로다. 그런데 이미 국산 지도앱이 굳건한 과점을 유지한 지 오래인 데다, 이젠 우리가 거대 IT 공룡과 맞서는 소버린 AI를 만들 실력까지 갖추게 됐다. 이런 낡은 규제는 더 이상 국내 산업을 보호하지 못할 뿐 아니라, 단체관광객 의존이라는 취약한 관광 구조를 오히려 고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앞으로 우리 관광업이 중국 볼모가 되지 않으려면, 구글맵은 물론 채식·할랄 같은 식단 표기를 포괄하여 국내 관광 환경 역시 적극적으로 외국인 친화적으로 바뀌어야만 한다.

박한슬 약사·작가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