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수송기가 이달 중순 일본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해 일본 전투기가 출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가데나 주일미군 기지에 비상 착륙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소통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국방부는 감사에 착수했다.
24일 공군과 국방부에 따르면 공군 C-130 수송기가 지난 13일 다국적 훈련 참가를 위해 이륙했다가 이날 낮 악천후로 일본 오키나와(沖縄)현의 가데나 기지에 긴급 착륙했다. 이는 일본 지역 매체에 보도되며 뒤늦게 알려졌다. 가데나 기지는 아시아 최대의 미 공군기지로 일본 항공자위대 소속 전투기 등도 배치돼 있다. 공군에 따르면 C-130 수송기는 이날 미국령 괌에 인도적 구조 지원 훈련을 위해 서울공항을 이륙했으나, 한반도를 벗어난 직후 비상 착륙을 시도했다. 수송기는 가장 가까운 가데나 공군기지로 기수를 돌렸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일본 방공식별구역(JADIZ)을 빠르게 진입하자, 이를 영공 침입으로 간주한 일본 항공자위대 소속 전투기 F-15J가 대응 출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군은 괌으로 향하던 중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가데나 기지에 착륙한다는 비상 계획을 사전에 세우고도 일본은 물론 주일미군 측에도 공유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일본 당국뿐 아니라 미군기지의 관제탑도 수 차례 수송기의 비행 목적을 문의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 공군 관계자는 “공역 통과 협조 과정에서 (미·일 측과) 커뮤니케이션상의 오류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국방부는 공군 측 과실도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최근 공군본부와 공군작전사령부 등에 대한 감사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