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AI 추격자에서 주도자로…'美 폐쇄·독점' 비판하며 세몰이
상하이 WAIC서 'AI협력기구' 제안…AI 美中 양강구도 굳히며 美 추격 박차
(상하이=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미국과의 글로벌 전략 경쟁 속에 인공지능(AI) 분야를 중점 육성해온 중국은 이제 'AI 추격자'에서 나아가 AI 글로벌 거버넌스를 주도하는 '규칙 제정자' 지위를 노리고 있다.
중국 주도로 26일 상하이에서 개막한 '2025 세계인공지능대회(WAIC) 및 AI 글로벌 거버넌스 고위급 회의'에서는 'AI 글로벌 거버넌스 행동계획'이 발표됐다.
13개 항목으로 이뤄진 행동계획에는 각국 정부·국제기구·기업·연구소·학교·민간기구·개인의 AI 참여를 독려하고, 기술 장벽을 낮추자는 등의 제안이 담겼다.
산업·소비·의료·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AI를 적용하는 '인공지능 플러스(+)'와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도국을 통칭) 국가들에 대한 AI 발전 지원 등 중국 색채가 짙은 AI 글로벌 정책과 다자 참여, 유엔 틀 내에서의 발전 등 최근 중국이 강조하는 국제 질서 구호도 포함됐다.
나아가 중국은 상하이에 세계AI협력기구를 설치하겠다는 계획까지 내놨다.
중국의 이런 움직임은 AI 분야에서 미국을 자본·기술적으로 추격하는 동시에 거버넌스 분야의 국제적 주도권을 우선 차지하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세계 질서를 수용하는 '룰 테이커'(rule taker)에서 질서를 제정하는 '룰 세터'(rule setter)가 되려 한다는 것이다.
'폐쇄적·독점적인 미국'과 '개방적·포용적인 중국'을 한껏 대조한 리창 중국 총리의 이번 WAIC 개막사도 이런 흐름을 보여준다.
리 총리는 "중국은 혁신 자원과 활력이 충분하고, 적극적으로 오픈소스 발전을 추동하고 있다"면서 "현재 글로벌 AI 거버넌스에는 전반적으로 여전히 파편화 상태가 나타나고 있고, 특히 각국이 통제 철학과 제도 규칙 등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넓은 공감대를 가진 AI 글로벌 거버넌스 프레임과 규칙을 만들어야 하고, 우리 또한 다자 협력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관세 인상 등 정치경제적 일방주의 행보나 다자기구 '패싱'을 비판할 때마다 자국이 다수의 개발도상국의 뜻을 대변한다고 강조하며 정당성을 설파해왔다.
실제 중동 전쟁 등 쟁점에서 글로벌 사우스의 지지를 모은 경험이 있는 만큼 AI 영역에서도 거버넌스 체제 선점 시도가 효과를 볼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런 시도는 'AI 실력' 면에서도 미중 양강 구도를 뚜렷이 하고 있다는 자신감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해석이 제기된다. 중국이 아직 미국을 앞지르기에는 이르지만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와 베이징대학은 이번 WAIC를 맞아 공동으로 발표한 '글로벌 AI 혁신지수 보고 2025'에서 미국이 총점 77.97점으로 세계 선두를, 중국이 58.01점으로 2위를 지켰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이 '글로벌 AI 혁신지수'를 집계해 발표한 것은 이번이 5년째다. 이 지수는 ▲ 기초 지원 ▲ 자원·환경 ▲ 과학·기술의 연구 및 개발 ▲ 산업·응용 ▲ 국제 협력·교류 등 5대 영역을 기준으로 각국에 점수를 부여한다.
보고서는 46개 주요 국가의 AI 혁신 상황을 분석한 결과 미중 양국이 최상위 그룹에 속하고, 영국(3위·36.60)·일본(4위·33.77)·한국(5위·32.22)·독일(6위·31.57) 등 차상위 그룹과는 비교적 큰 격차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중 양국 사이의 격차는 작년 보고서의 22.02에서 올해 19.96으로 다소 줄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다른 국가와 비교할 때 중국·미국의 선도적 우위가 한층 확대됐고, 양국은 AI 칩 기업 숫자와 고급 인재 수, 최상위 학술지 논문 수, 대형언어모델(LLM) 수에서 모두 평가 대상 국가의 50% 이상을 차지했다"며 "오픈소스 생태계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발전하고 있고, 개발도상국이 적극 융합하고 있어 중국이 중요한 공헌자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성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