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美 관세협상 ‘운명의 주’…美 소고기·쌀 압력, ’조선업 협력’으로 막나

중앙일보

2025.07.27 01:11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2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SPC 그룹의 8시간 초과 야근 폐지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미국과의 관세 협상 시한(다음 달 1일)이 닷새 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대통령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대통령실은 지난 25일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주재로 통상대책회의를 연 데 이어 주말인 26일도 김용범 정책실장과 위성락 안보실장 주재로 통상현안 긴급회의를 열었다. 특히 26일 회의에는 미국에서 협상을 진행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화상으로 참여해 상세한 협상 상황 등을 공유했다.

27일엔 공식 회의가 잡히진 않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은 참모들로부터 협상 상황을 보고받고 대응 전략을 모색했다고 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익을 중심으로 가장 우리나라에 큰 혜택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그리고 세계의 복잡다단한 상황 속에서 여러 가지를 염두에 두고 협상에 임하라는 게 이 대통령의 메시지”라며 “이 메시지 기조 안에서 우리는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관세 협상 관련해) 24시간 보고 받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미국무역대표부 회의실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 대표와 한미 관세협상 진전 방안을 논의하기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산업부
현재 협상에서 미국은 조선업 협력에 관심을 보이는 상황이다. 대통령실은 26일 회의가 끝난 뒤 낸 보도자료에서 “김정관 장관은 미국 하워드 러트닉 상무 장관과의 회담 결과를 보고했다”며 “미국 측의 조선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조선업 협력은 처음부터 협상안에 들어가 있었고, (지난달 22일 정부 고위급 인사가) 첫 번째 만났을 때도 미국이 관심을 보였다”며 “우리가 이번에 더 구체적인 협력안을 가지고 간 결과 미국의 관심이 더 커져 협상 과정에서 계속 발전시켜 나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소고기, 쌀 시장 추가 개방 등을 압박하는 상황에서 한국은 조선업 협력을 포함한 산업 협력 방안을 지렛대로 활용해 이런 압력을 상쇄하려고 시도 중인 상황이다. 미국은 쇠퇴한 자국 조선업의 한계를 보완하고, 중국과의 해군력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동맹과의 조선업 협력에 관심이 많다. 여기에 더해 미국이 자국 제조업 부흥을 목표로 한 만큼 한국은 반도체·배터리 등 전략 산업 투자 등을 포함한 산업 협력 패키지도 미국 측에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상호 관세 협상 마감 시한을 앞두고 30개월 이상 소고기나 쌀 등 국내 농축산물 시장 개방이 대미 협상 테이블에 오른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27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미국산 소고기. 뉴스1
대통령실은 협상 시한 하루 전날인 오는 31일 한·미 재무·외교 장관 회담이 열리는 만큼 그 전까지 최대한 협상을 진전시킨다는 계획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1+1’ 협상이 상호 관세 부과 여부 최종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마크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만나 측면 지원할 계획이다. 두 차례 방미했던 위성락 실장은 남은 시간 추가 방미 없이 미국 현지와 연락하며 협상을 조율할 예정이다.



윤성민([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