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20% 불과한 비수도권 벤처투자…"지역·업력 쏠림현상 해소해야"

중앙일보

2025.07.27 23:4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대한상공회의소
한국 벤처투자가 수도권이나 7년 이상 된 창업 후기 기업 위주로 쏠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권역별 지역특화 펀드나 창업 초기 기업 전용 펀드를 신설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8일 발표한 ‘벤처투자시장 현황과 정책과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앞서 대선 공약에 연간 40조원 규모의 벤처투자 시장을 조성하는 내용을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벤처기업 중 비수도권 소재 기업 비중은 약 40% 수준이지만, 최근 10년간 이들에 대한 벤처투자 비중은 2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주도하는 모태펀드도 2005년 출범 이후 지난해 8월까지 총 34조3000억원을 투자했으나, 지방 계정에 집행된 투자는 총 1조1000억원으로 3.2%에 불과했다.

이에 정부 차원에서 지역특화 펀드를 운용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보고서는 “민간 투자자의 수도권 선호가 시장 원리에 부합할 수 있지만, 정부 주도 모태펀드는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목표에 맞춰 전략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며 “지역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산단 조성 등 모태펀드 내 권역별 지역특화 펀드를 신설하고 지방 계정에 대한 출자 예산을 확대하는 등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밝혔다.

창업 초기 기업에 대한 투자도 인색했다. 지난해 전체 벤처투자액 11조9000억원 중 창업 3년 이내 초기 기업 투자는 18.6%인 2조2000억원에 그쳤다. 반면 7년 이상 후기 투자는 53.3%인 6조40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모태펀드 역시 지난해 창업 3년 이내(22%) 투자 비중보다 7년 이상(44.3%)이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는 “보통 창업 3년 이내는 수익 창출 없이 막대한 개발비와 운영비 드는 ‘데스밸리’ 구간으로, 지속적인 투자 유치 필수적”이라며 “불확실성이 높은 초기 기업에 대해 초기 스타트업 전용 펀드를 늘리는 등 투자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렇게 조성된 지역특화 펀드, 초기 스타트업 펀드 등에 대해서는 세제 혜택, 손실 발생 시 우선 충당 혜택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벤처투자 40조원’이라는 정부 목표 달성을 위해 정책금융 등 공적자금 뿐만 아니라 금융회사와 개인 등 가능한 민간투자를 총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벤처투자에 대한 은행권의 위험가중치(RWA)를 낮춰 투자 여력을 확대하고, 개인이 벤처투자조합 등에 투자할 때 세액공제율을 상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나상현([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