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범죄계좌 원천 차단”…당국, 연내 ‘보이스피싱 AI플랫폼’ 구축한다

중앙일보

2025.07.28 02:36 2025.07.28 02:3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금융당국은 통신사와 수사기관 합동으로 연내 ‘보이스피싱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선보인다. 보이스피싱의 핵심 통로인 ‘범죄 계좌’를 차단하기 위해서다.

금융위원회는 28일 과학기술부·경찰청·금융보안원 등 관계 부처와 보이스피싱 전문가 등과 함께 현장 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보이스피싱 근절 방안을 내놨다. 정보기술(IT)의 발전으로 관련 범죄 수법이 첨단화되면서 소비자 피해 규모가 빠르게 커지고 있어서다.

금융당국이 통신사, 수사기관과 손잡고 연내 선보일 '보이스피싱 AI플랫폼 체계도'. 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해 2만1000명이 보이스피싱으로 8545억원 상당의 피해를 봤다. 피해액은 1년 사이 1.9배 급증했다. 1인당 피해액도 같은 기간 2400만원에서 4100만원으로 늘었다.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이 보이스피싱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지시한 이유다.

금융당국이 꺼낸 카드인 ‘AI 플랫폼’은 보이스피싱 의심 계좌를 미리 파악하고 차단하는 게 핵심이다. 그동안 금융사와 통신사, 경찰이 개별적으로 파악해온 보이스피싱 의심 정보를 플랫폼에서 통합한 뒤 AI 기술로 분석해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앞으로 (AI 플랫폼엔) 금융사가 보유한 피해 발생 계좌 정보와 통신사의 악성앱 설치 여부, 경찰이 파악한 피해자 정보를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보이스피싱의 핵심 길목인 범죄 계좌와 통신을 차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AI 플랫폼은 크게 ‘긴급 공유 필요 정보’와 ‘AI 분석 정보’ 투트랙으로 활용한다. 대표적인 긴급 공유 정보는 보이스피싱 범행에 활용된 금융사 계좌 정보다. 해당 정보는 AI 플랫폼을 통해 즉시 수사기관과 전체 금융사에 공유된다. 금융사들은 범죄 계좌로 이체된 자금을 지급정지하거나 환수하는 등 조치에 나설 수 있다. 또 보이스피싱 의심 계좌와 거래가 있는 소비자에게도 미리 경고해 범죄를 예방하겠다는 게 금융위 설명이다.

AI 분석 정보는 보이스피싱 계좌의 특징을 파악하고, 60대 이상 고령자 등 보이스피싱에 취약한 소비자를 집중 모니터링 하는 데 활용한다.

이번 플랫폼 구축에는 19개 은행을 비롯해 보험사(35곳), 저축은행(14곳) 등 134개 금융사와 통신 3사, 수사기관 등이 참여한다. 금융위는 올해 3분기 내 AI 플랫폼 운영 기준을 마련한 후 4분기 안에 AI 플랫폼을 출범할 예정이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AI 플랫폼 구축은 금융위가 구상 중인 여러 방안 중 첫 사례일 뿐”이라며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예방-차단-구제-홍보’ 각 단계별로 변화를 이루어 낼 정책 과제를 끈질기게 고민해 순차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염지현([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