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경북 농민단체 “농축산물 개방하면 끝까지 투쟁할 것”

중앙일보

2025.07.28 08:23 2025.07.28 13:2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25일 농민단체들이 한미 상호관세협상 농축산물 장벽철폐 반대 집회를 하고 있다. [뉴스1]
한국후계농업경영인경상북도연합회 등 농민단체가 2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농민 500여 명과 트럭 80여 대를 동원한 대규모 집회를 진행했다. 앞으로 진행될 한·미 무역 협상에서 미국산 소고기나 사과 등 농축산물 수입 확대가 협상 카드로 거론되는 것에 반발해서다.

이들 농민단체는 집회에서 “농식품 분야의 무역수지가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축산물 시장을 협상 카드로 활용하겠다는 것은 결국 농축산업을 포기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며 “추가 개방이 이뤄진다면 미국산 농축산물의 국내 시장 잠식이 더 거세지고 국내 농업 생산 기반 붕괴를 자초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정부는 그간 농산물 분야에서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제한 해제’ ‘미국산 쌀 수입 할당 확대’ ‘사과 수입 허용’ 등을 요구해 왔다. 반면 우리 정부는 식량안보와 농민 보호 측면에서 이 같은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 사례로 볼 때 미국의 요구를 어느 정도 들어주지 않고 협상 타결을 이루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농민단체들은 농업 분야가 무역 협상의 ‘제물’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송종만 한국후계농업경영인 경상북도연합회장은 “지금 협상 테이블에 무엇이 올라갔고, 어떤 농산물이 거래되고 있는지조차 알 수 없다. 불투명한 정부의 대응은 농민을 철저히 외면하는 것”이라며 “만약 농축산물 시장을 다시 개방하려 한다면, 경북 농민들은 전국 농민과 함께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전국 최대 한우·사과 산지인 경북에서 농축산물 수입 확대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거세다. 경북은 지난달 기준으로 국내 전체 한우 사육 두수 329만334마리 중 71만6580마리(21.8%)를 차지해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한우를 사육하고 있다. 또 사과 생산량도 1만8000여 농가가 1만9000㏊ 면적에서 사과를 재배하면서 전국 생산량의 62%를 차지하는 최대 주산지다.





김정석([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