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가자지구에 제노사이드"…이스라엘 유력 인권단체 2곳 진단

연합뉴스

2025.07.28 17: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묵인하는 서방, 저지할 책무"…이스라엘 정부 "근거 없는 주장" 일축
"가자지구에 제노사이드"…이스라엘 유력 인권단체 2곳 진단
"묵인하는 서방, 저지할 책무"…이스라엘 정부 "근거 없는 주장" 일축

(서울=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 이스라엘 유력 인권단체 2곳이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상대로 '제노사이드'(특정 집단을 겨냥한 말살정책)를 저지르고 있으며, 이스라엘의 서방 동맹에는 이를 저지할 책무가 있다고 진단했다.
가디언,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인권단체 비첼렘과 이스라엘 인권의사회(PHR)는 28일(현지시간) 예루살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사회를 파괴하기 위해 조직적이고, 고의적인 행위를 이어가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공개했다.
비첼람의 율리 노박 사무총장은 이날 회견에서 "가자 주민들은 그들의 인간성과 권리를 완전히 박탈당한 채 터전에서 내쫓기고, 폭격받고 굶어 죽고 있다"며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것은 한 집단을 말살하기 위한 민간인들을 상대로 한 명백하고 고의적인 공격"이라고 지적했다.
PHR은 "이스라엘은 계산적이고 조직적인 방식으로 가자지구의 보건 인프라를 파괴했다"며 가자지구의 보건 시스템에 가해지고 있는 피해에 초점을 맞췄다.
가이 샬레브 PHR 사무총장은 한 집단의 전체 또는 일부를 파괴할 목적으로 생활 조건에 고의로 위해를 가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노사이드 협약'의 조항에 따라 보건 시스템의 파괴만으로도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벌이고 있는 행위는 제노사이드라고 강조했다.
'집단살해죄의 방지와 처벌에 관한 협약'을 일컫는 제노사이드 협약은 나치에 의한 유대인 대량 학살 직후인 1948년 유엔에서 채택됐다.
이들 단체는 또한 이스라엘이 자행하고 있는 이러한 집단학살은 이스라엘의 서방 동맹들의 묵인 아래 자행되고 있다면서 서방 국가들이 가자에서 벌어지고 있는 참극에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비첼람의 노박 사무총장은 "서방의 지지 없이는 이런 일은 일어날 수 없었을 것"이라며 "이를 멈추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지 않는 지도자는 (가자)참상에 한 몫을 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샬레브 사무총장 역시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이 벌이고 있는 집단학살을 중단시키기 위해 지금까지 했던 것보다 더 강력한 조치를 취할 법적, 도덕적인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로이터는 이날 이뤄진 두 단체의 기자회견을 이스라엘 사회의 유력 단체들로부터 나온 자국의 '제노사이드' 혐의에 대한 첫 비판 사례로 주목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기습 공격을 응징하기 위해 이스라엘이 2023년 10월 시작한 가자전쟁이 약 3년을 채워가면서 가자지구가 초토화되다시피 하고, 팔레스타인인들이 겪는 피해가 극에 달하자 국제사회에서 이스라엘의 '집단학살'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스라엘 내부의 영향력 있는 단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키우면서 이스라엘 정부가 느끼는 부담은 더 커질 수밖에 없게 됐다.
하지만, 이스라엘 정부는 자국의 유력 인권단체들이 제기한 이번 비판을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데이비드 멘서 이스라엘 정부 대변인은 이스라엘이 가자 주민들에게 구호 식량을 지원하고 있는 점을 내세우면서 "(이스라엘의 행위에는) '제노사이드'의 핵심인 '의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집단말살의 의도가 있다면 한 나라가 190만t에 달하는 구호품을 보내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앞서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구호품을 탈취한다며 지난 3월 초 가자지구를 전면 봉쇄했다가, 5월부터 미국과 함께 만든 가자인도주의재단(GHF)을 통해 제한적 배급만 허용해온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식량 부족으로 인한 사망자가 속출하며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을 향한 국제사회의 비판이 커지자 이스라엘은 최근 가자지구 교전 중단을 발표하면서 구호품 공중 투하도 재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현윤경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