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손가락이 4개여도, 제대로 안보여도..우린 불굴의 의지로 극복했다

중앙일보

2025.07.28 23:36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손가락 4개 조막손으로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존스. EPA=연합뉴스
핸디캡(handicap). 영어로 '신체·정신적 장애'를 뜻한다. 스포츠의 세계에서 핸디캡은 치명적이다. 경쟁자들보다 불리한 조건에 놓인 채로 싸워야 하기 때문에 이기기 어렵다. 특히 정상급 선수들이 겨루는 대회 결승에선 장애를 안고 승리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그런데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고 챔피언에 오른 선수들이 있다. 불굴의 의지로 장애를 극복하고 인간 승리 드라마를 썼다. 그들에게 핸디캡은 그저 뛰어넘어야 할 허들일 뿐이다.

여자 테니스 프란체스카 존스(25·세계 84위·영국)는 신체적 핸디캡을 뛰어 넘고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대표 사례다. 존스는 지난 28일 여자프로테니스(WTA) 125 이탈리아 팔레르모 레이디스오픈대회 여자 단식 결승전에서 아누크 쾨베르만스(172위·네덜란드)를 2-0(6-3 6-2)으로 물리치고 정상에 올랐다. 존스는 양쪽 손가락이 4개씩이고, 발가락은 왼쪽이 4개, 오른쪽은 3개로 태어났다. 영국테니스협회에 따르면 존스는 유전성 질환인 외배엽성 이형성증으로 인해 손가락과 발가락 개수가 다른 선수들에 비해 적다. 15차례나 수술 받았지만, 차도는 없었다. 결국 8세 때 의사에게 "테니스는 무리"라는 얘기를 들었다.

사시를 극복하기 위해 반사 신경을 키운 햄프턴 AP=연합뉴스
존스는 좌절하지 않고 16세 때(2016년) 프로에 입문했다. 하체 중심을 잡기 위해 남들보다 독한 체력 훈련을 견뎠다. 악력을 기르기 위해 조막손에 마비가 와도 참고 라켓을 놓지 않았다. 손이 너무 아플 때 울면서 서브를 했다. 노력은 결실을 맺었다. 데뷔 초 1200위권이던 세계 랭킹은 이번 대회 우승으로 개인 최고 순위인 84위까지 치솟았다. 존스의 꿈은 4대 메이저대회다. 아직 어느 대회에서도 승리가 없다. 영국 BBC는 "존스의 다음 목표는 올해 마지막 메이저대회인 US오픈"이라고 전했다.

잉글랜드 여자 축구대표팀을 유럽 챔피언으로 이끈 골키퍼 해나 햄프턴(25)도 장애를 극복하고 세계적인 '거미손'으로 우뚝 선 주인공이다. 햄프턴은 지난 28일 열린 2025 여자 유럽축구선수권대회 결승전에서 120분 동안 1실점만 허용했다. 스페인은 이날 무려 22개의 슈팅을 시도했다. 햄프턴의 눈부신 선방에 힘입어 3-1로 이긴 잉글랜드는 대회 2연패를 이뤘다. 사실 햄프턴은 슈팅을 제대로 보지 못한다. 선천적 사시(斜視·정면을 바라볼 때 양쪽 눈 시선이 같은 방향을 향하지 않은 상태)라서다.

천식과 난독증 등을 딛고 세계 최고의 스프린터로 우뚝 선 라일스. 로이터=연합뉴스
어린 시절 세 차례나 눈 교정 수술을 했지만, 실패했다. 눈 초점이 맞지 않아 거리 감각이 절대 부족했다. 슈팅을 잡지 못하고 얼굴에 맞아 코피 나기 일쑤였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았다. 슈팅에 빠르게 반응하는 훈련을 했다. 잡진 못해도 악착같이 쳐냈다. 온몸이 멍투성이가 될 때까지 몸을 던지며 펀칭 감각이 뛰어난 '거미손'으로 진화했다. BBC는 "햄프턴은 불가능을 이겨내고 잉글랜드의 넘버원(주전 골키퍼)이 됐다"고 했다.

지난 12일 2025 모나코 다이아몬드 리그 남자 200m에서 2024 파리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레칠레 테보고(22·보츠와나)를 제치고 금메달(19초88)을 거머쥔 노아 라일스(28·미국)는 유년기에 발작을 일으킬 정도로 심한 천식을 앓았다. 학창 시절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난독증 등을 진단 받았다. 트랙보다 병원에서 보낸 시간이 더 많았다. 라일스는 육상 선수 출신 어머니가 권한 채소 위주 식단으로 건강을 되찾았다.


지루하고 힘든 치료 기간이었지만 다시 달릴 날을 그리며 꾹 참았다. 또 미술과 음악을 감상하며 부족한 집중력을 끌어올렸다. 항우울제를 복용도 멈췄다. 트랙에 복귀한 라일스는 번개처럼 빨리 달렸다. '육상 황제' 우사인 볼트(39·은퇴)의 후계자로 떠올랐다. 파리올림픽에선 남자 100m 금메달(9초79)까지 거머쥐었다. 올해도 여전히 전성기를 달리고 있다.

피주영([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