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글로벌 제약사가 보유한 미국 내 바이오의약품 원료 생산 공장 인수전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인수가 마무리되면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하면서, 의약품 관세 등 장기적인 리스크(위험)를 해소할 수 있을 전망이다.
29일 셀트리온은 글로벌 기업 두 곳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인수를 추진 중인 공장은 글로벌 의약품 기업이 보유한 대규모 원료의약품(DS) 생산시설”이라며 “해당 시설은 수년간 항암제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주요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해왔다”라고 설명했다. 해당 공장을 소유한 글로벌 기업명은 양측간 협의에 따라 본계약이 체결될 때까지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공장 인수에는 7000억원 정도가 투입된다. 향후 증설 시엔 추가로 3000억~700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는 자체 자금에 더해 금융기관을 통해 재원을 조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10월 예정된 본계약이 끝나는 대로 미국 정부 승인을 거쳐 연내 100% 인수를 추진한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이날 온라인 간담회에서 “미국 내 생산기지 확보는 보호무역주의와 관세 위협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이라며 “미국에 백지상태로 공장을 짓는 것보다 경제적, 시간적 측면에서 인수가 나을 것으로 판단했다”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계약에 따라 해당 시설의 50%에선 공장을 소유한 글로벌 의약품 기업의 바이오의약품을 5년간 독점 생산할 수 있다”라며 “인수 후 바로 수익 창출이 가능한 점도 큰 장점”이라고 밝혔다. 나머지 50% 시설에서는 미국 내 판매 중인 셀트리온의 주요 제품들을 생산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이번 계약에 앞서 미국발 관세 타격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현지서 판매 예정인 제품들의 2년 치 재고를 미국으로 이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의약품에 최대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다만 최근 유럽연합(EU)과의 관세 협상에서 유럽산 의약품에는 이보다 낮은 15%의 관세율을 매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