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위약금? 내가 내줄게" 이랬던 마왕의 죽음, 20년 기타리스트 삶 바꿨다 [안혜리의 인생]

중앙일보

2025.07.29 08:20 2025.07.29 13:5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넥스트 기타리스트 김세황 인터뷰
신해철과 한 시대를 풍미했던 넥스트 김세황을 지난 9일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 타워 한창 사무실에서 만났다. 록 기타리스트는 지금 K팝 확장에 나선다. [사진 김세황]
" 김세황(54). "
누군가 이 이름을 기억한다면 적당히 나이 먹었거나, 록 음악 좀 아는 매니어일 가능성이 크다. 한국 록 음악 혁신가이자 시대의 아이콘 신해철(1968~2014)이 늘 "최고의 기타리스트"라며 찬사를 보냈던 바로 그 인물이다. 11년 전 신해철의 죽음은 20대 초반 그룹 넥스트부터 시작해 20년 동안 함께 음악 해온 김세황의 인생을 바꿔놓았다. 외교관 아버지의 죽음(과도 같은 사고)이 아들 삶을 흔들어 록의 세계로 이끌더니, 친형이나 다름없던 신해철의 죽음은 거꾸로 기타리스트라는 정체성 말고 다른 삶을 찾아 나서게 했다.

지난 2023년 '중소돌(중소 기획사 아이돌)의 기적'이라 불린 걸그룹 피프티 피프티의 떠들썩한 글로벌 성공(데뷔 4개월 만에 빌보드 핫100 진입, 한국 걸그룹 최초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 톱10)에 그가 기여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아버지와 신해철, 그에게 헌신과 조력의 의미를 알려준 두 사람의 죽음은 김세황을 각성시켰다.
거물 필 콰타라로(오른쪽)가 사망하기 전인 2023년 그의 마지막 생일을 함께 했다. [사진 김세황]
배신·훼방 아닌 헌신·조력이 결국 손해 아닌 이익으로 돌아온다는 걸 확실하게 보여준 필 콰타라로(1956~2023)와의 인연도 그래서 가능했는지 모른다. 버진 레코드 아메리카와 워너 브러더스 레코드, EMI 뮤직 CEO를 거치며 U2, 스파이스 걸스, 린킨 파크 등을 키워냈고 스티브 잡스와 직접 아이폰 스트리밍 가격 협상을 벌였던 이 미국 음반산업 거물은 일찌감치 K팝의 성공을 확신하고 적극적 조력자를 자처했다고 한다. "성공하고 싶다면 남을 도와라. " 버진 그룹 창업자 리처드 브랜슨의 철학이 콰타라로를 거쳐 김세황에게까지 이어졌다. 올 초 한 재미 사업가가 K콘텐트 확장을 위해 인수한 회사(한창)에서 엔터테인먼트 총괄 이사를 맡은 김세황을 지난 9일 만나 들은 얘기를 그의 관점에서 정리했다. 안혜리 논설위원
헌신의 아버지
전쟁고아였던 아버지는 가난한 먼 친척 집에 얹혀살면서도 영어사전 밑줄 쳐가며 전부 외울 정도로 공부 집념이 대단했다. 유창한 영어 실력 덕에 카투사 시절 미군 고위 장교 보좌관이 됐는데, 이 장교가 대구에서 보일러 공장 하는 부잣집 외동딸인 어머니를 소개해줬다. 외할아버지는 탐탁지 않아 했지만 둘은 결혼, 1974년 워싱턴 주미 한국대사관에 갔다. 이때부터 1987년 아버지가 출근길 큰 교통사고(※밝히기 어려운 비화가 있다)로 죽음 직전에 다다를 때까지 아버지는 나라와 가족에 헌신했다. 늘 "난 외교관으로 대한민국 긍지를 높일 테니 넌 대한민국에 누가 되지 않게 행실 똑바로 하라"고 했다.

배신·훼방이 성공에 더 도움?
신해철의 조건없는 3000만원
미 대중음악 거물의 열정 후원
'남 도와야 나도 성장' 보여줘
결혼 전 클래식 기타리스트였던 어머니는 설거지를 마치면 2시간씩 비발디 '사계' 등 기타를 연주했고, 아버지 몰래 기타를 가르쳐줬다. 초등학교 졸업 무렵 좋아하던 금발의 동급생 린다 눈에 들려고 "지미 헨드릭스처럼 되고 싶다"고 하자 아버지는 "딴따라는 절대 안 된다"고 노발대발했지만 어머니는 "탁월한 선택"이라고 응원했다.
아버지(왼쪽)가 워싱턴 주미 한국대사관에 근무하던 시절 대사관에 간 김세황. [사진 김세황]
만약 그 사고가 없었다면 아버지 뜻대로 외교관이 됐을지도 모르겠다. 사경을 헤매던 아버지와 서울에 돌아온 나는 한국말은 서툴러도 한국을 사랑하는 마음만은 충만한 채기타리스트의 꿈을 좇았다. 하지만 쉽지 않았다. 한국은 록 불모지였고, 나를 자꾸 밀어냈다. 스무 살 무렵 데뷔하고 싶어 KBS PD를 6개월 쫓아다녔는데 "네 음악은 한국사회에 안 맞는다"는 말을 들어야 했다. "남자는 머리 길면 안 된다, 귀걸이 안 된다, 힐 신으면 안 된다, 무엇보다 너무 시끄럽다"는 이유였다. "그래도 음악을 하고 싶으면 앨범을 내라"기에 무작정 서울음반을 찾아갔다. 카세트테이프에 담아간 데모곡을 듣고 나서 관계자가 "가요 톱10(1980~90년대 KBS 음악프로그램) 들어봐라, 음악도 외모도 넌 한국과 안 맞는다"며 거절했다. 다른 25곳 음반사 전부 마찬가지였다. 딱 한 곳, BMG코리아만 키우던 가수 정해연과 함께 활동하는 조건으로 음반을 내줬다. 그게 지금까지 대한민국 록 명반으로 꼽히는 '다운타운 1집'(1993)이다. 아버지와 달리 내 방식으로 나라에 헌신한 앨범이라고 생각한다. 또 신해철과의 연결고리가 된 특별한 의미도 있다.
조력의 신해철
생애 첫 앨범을 낸 이듬해 전화가 왔다. "신해철입니다. 무조건 만납시다. " 서울 강남구 청담공원에서 기다리는데 그가 타고 온 벤츠를 보자마자 치기 어린 마음에 "이 형이랑 음악 해야겠다" 싶었다. 해철이 형은 작업 중이던 '껍질의 파괴'를 들려주며 "넥스트에 합류해달라"고 꼬셨다. 안 할 이유가 없었다. 그런데 앨범 마무리할 무렵 BMG에서 "전속계약이 남아있다, 당신 넥스트 못 한다"고 해서 정작 앨범엔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어느 날 해철이 형이 또 전화했다. "위약금 얼마야? 내가 물어줄게. " 거금 3000만원을 조건 없이 건네 나를 전속계약에서 빼줬다. 이때부터 넥스트 전성기가 시작됐다. 난 유명한 연습벌레였다. 해철이 형 집에서 살다시피 하며 기타만 쳤는데, 거실에 가득하던 여성 팬들 반응을 보면서 대중이 뭘 좋아하는지 감을 잡았다. 넥스트 4집 수록곡 '라젠카'(1997)는 이 시기 내 기타 연습곡이었다. 지금은 '전설적 록 오페라'라는 수식어가 붙지만 당시 소속사에선 "시끄럽다"며 "음반에 넣지 말라"고 했다.
김세황(왼쪽 첫 번째)이 넥스트 멤버로 신해철(왼쪽 두 번째)과 함께한 첫 공연이었던 1994년 톰보이 뮤직 페스티벌 대기실에서 팬과 함께 사진을 찍었다. [사진 김세황]
중간에 다퉈 나 혼자 노바소닉(1999~2003) 활동을 하기도 했지만 길게 보면 해철이 형과 따로 또 같이 20년을 함께했다. 넥스트 기타리스트인 동시에 난 록과 클래식을 넘나드는 연주자였다. 서울시향과 비발디 '사계' 전 악장을 녹음했고, '사계' 연주로 유명한 이탈리아 실내악단 이 무지치 디 로마의 창단 60주년 기념 내한공연 땐 협연자로 무대에 섰다. 어릴 적 영웅인 레인보우·딥 퍼플 록 보컬리스트 조 린 터너와 싱글을 내고, 미국 애너하임 국제 악기 박람회(NAMM)에선 한국인 첫 야마하 시연자였다. 할리우드 명예의 전당 록의 거리에 등재된 최초의 한국인이었다. 따로 이룬 공연 성과도 "최고의 기타리스트"라며 날 추켜세우던 해철이 형의 지지가 있기에 가능했다.

그러다 형의 죽음으로 모든 게 바뀌었다. 그의 부재는 기타리스트 정체성 말고 다른 길을 모색하는 계기가 됐다. 조력은 남 좋은 일이 아니라 같이 성공하는 길이라는 걸 해철이 형은 본인 삶을 통해 보여줬다. 마침 싸이의 '강남스타일'(2012)이 유튜브 타고 글로벌 흥행하는 걸 지켜본 터라 혼자 연주하는 걸 넘어 아버지가 헌신했던 이 나라를 위해 뭔가 하고 싶었다. 그게 K팝이었다.
K팝 비밀병기 필 콰타라로
영어 유창한 연예계 사람이 드물어 굵직한 글로벌 행사 참여 기회가 많았고 이를 통해 적잖은 해외 인맥을 쌓았는데, 2018년 미국에 돌아가 만난 필 콰타라로는 그 정점이었다. 1986년 리처드 브랜슨이 직접 영입해 버진 레코드 아메리카를 세웠고, 이후 워너·EMI 등을 거치며 빌보드 1위 곡만 수백 곡 만들어낸 미국 음반산업의 전설이다. 빌보드 올해의 음악 경영자상을 받기도 했다. 한마디로 모든 걸 이룬, 아쉬울 거 하나 없는 사람이다.

2009년 자기 회사(트라이포드 파트너스) 설립 후에도 영향력은 여전했는데, 그걸 남 돕는 데 썼다. 내 인생의 멘토 삼아 2023년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지근거리에서 지켜본 그는 '재능 기부 끝판왕'이었다. 바로 그 점이 그가 가르쳐준 성공 노하우였다. "남을 도와라, 기왕 도울 거면 공격적으로 도와라. " 날 피프티피프티 소속사인 어트랙션 전홍준 대표와 연결해 K팝의 새로운 흥행 역사를 쓴 것도 필이었다.
지난 2019년 서울국제뮤직페어(MU:CON)에 기조강연을 한 필 콰타라로. [사진 김세황]
싸이 '강남 스타일'의 엄청난 흥행에도 불구하고 미국 대중음악계는 K팝을 진지하게 바라보지 않았다. 필은 달랐다. 이미 2013년 한 보이그룹 미국 공연에 세계 최대연예·스포츠 매니지먼트사인 CAA 회장을 데려가기도 했단다. 하지만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보다 "이젠 감 떨어졌다"며 뒤에서 수군댔다고 한다. 그래도 그는 계속 K팝의 미국 진출을 도왔다. 2018년엔 영국 출신이 미국에 세운 K팝 중심 글로벌 송 피칭 플랫폼인 더 헬로 그룹(THG·The Hello Group)에 합류해, 글로벌 작곡가들이 BTS 등 K팝 그룹과 함께 작업하는 연결고리를 만들었다.

미국 대중음악 거물이 왜 그렇게까지 K팝에 진심이었을까. 그는 생전 인터뷰에서 "누군가의 꿈을 결승선까지 가져가는 과정에 참여하는 만족감이 정말 크다"고 했다. 그의 눈엔 미국 시장 진출하려는 K팝 아티스트들이 그가 만난 신인 시절의 U2이자 스파이스 걸스였을 거다. 무엇보다, 시칠리아 출신 왜소증 환자로 미국 사회에서 많은 차별을 경험한 사람이라 인종 등 주류와 다른 정체성 탓에 기회를 놓치는 사람이 없도록 돕고 싶어했다.

운 좋게 그의 노하우를 전수받은 난 주변부 조력자를 넘어 직접 K팝 확장에 나선다. 내 헌신과 조력이 어떤 결과를 만들지 지켜봐 달라.
안혜리 논설위원



안혜리([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