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中 생수업체 농푸, 美 0.93㎢ 땅 매입 공장 지으려다 '좌초'

연합뉴스

2025.07.29 18: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반중정서 작동, 국가안보 이유로 현지 반발…공산당 배후 의심도
中 생수업체 농푸, 美 0.93㎢ 땅 매입 공장 지으려다 '좌초'
반중정서 작동, 국가안보 이유로 현지 반발…공산당 배후 의심도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중국 최고 갑부 반열에 오른 생수업체 농푸산취안(農夫山泉·농푸)이 미국에서 생수 공장용 땅을 샀다가 반중 정서에 막혀 사업이 좌초 위기에 처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농푸는 미국 내 자회사를 통해 지난 1월 미 뉴햄프셔주 내슈어의 9.3헥타르(0.93㎢, 2만8천평) 규모의 산업 부지를 샀다.

농푸는 이 부지를 6천700만달러(약 932억원)에 샀으며, 이는 평가 가치인 1천50만달러의 4배를 훌쩍 넘긴 액수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농푸는 해당 부지에서 나오는 수자원으로 생수는 물론 음료를 제조하겠다는 사업계획을 알렸으나, 해당 토지 소유자에게 상식 이상의 고액을 주고 땅을 샀다는 점이 관심을 끌었다.
여기에 중국 내 최고 부자 순위 1위를 오르락내리락하는 중산산이 창업한 농푸의 공격적인 미국 진출 사업이라는 점도 현지에서 반중 정서를 불렀다. 배후에 중국 공산당과 정부가 자리 잡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졌다. 국가 안보 위협 논란으로 이어진 것이다.
특히 부근에 국방·정보보안·항공 우주 관련 기업인 BAE시스템즈와 연방 항공 통제센터, 우주군 기지 등이 있다는 점이 우려 사항으로 등장했다.
무엇보다 최근 몇 년 새 미국에서 중국 기업들의 진출과 사업 확장이 미국 현지인과 당국의 반발로 삐걱대거나 갈등 끝에 좌초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 가운데 농푸 토지 매입 건도 그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실제 중국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고션(Gotion·궈시안)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의 시장 진입 규제를 피해 미시간에 24억달러 규모 공장을 지어 전기차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생산·판매하려다 큰 반발을 샀다. 이는 작년 10월 미 대선판 쟁점으로 부각하기도 했으며 현재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하다.
중국 최대 배터리업체 닝더스다이(寧德時代·CATL)와 미 포드 자동차가 합작해 미시간주 마셜에 배터리공장을 건립하려던 사업도 2023년 9월 중단됐다.

중국의 바이오 발효 기업인 푸펑그룹이 옥수수 제분 공장을 짓기 위해 노스다코타주 그랜드포크스 내에서 370에이커(1.49㎢)를 매입하려 했으나, 2023년 2월 노스다코타 시의회의 반대로 매입이 무산됐다.
SCMP는 농푸의 시도와 유사한 사례는 최근 몇 년간 완전히 중단됐거나 점점 더 엄격한 조사에 직면한 상태라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농푸가 부지를 개인으로부터 매입했다고 하더라도 관련 당국과 현지 주민이 해당 거래에 반발하면서 난관에 직면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특히 과거 뉴햄프셔주에선 중국을 포함한 적대적인 외국의 기관 등에 군사시설 부근 토지 매각을 제한하는 법안이 추진됐다가 무산됐음에도 이번 일을 계기로 그와 관련해 정치적 동력이 되살아났다고 한다.
SCMP는 뉴햄프셔의 공화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농푸의 산업단지 부지 매입을 주 당국이 철회할 수 있는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공화당 의원들은 연방 정부 차원에서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IFUS)에 국가 안보를 이유로 해당 계약을 취소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뉴햄프셔주 내슈어시는 SCMP에 "농푸가 음료 제조 시설을 설립하려고 신청했으나, 그 계획은 지난 5월 말 철회된 것으로 안다"고 확인했다.
SCMP는 농푸의 뉴햄프셔 생수 공장 계획은 여러 여건으로 볼 때 사실상 좌초한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전 사례와 마찬가지로 중국 기업들의 미국 내 사업들에 대해 공산당 배후설 제기와 강한 반중 정서로 인해 가로막히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이 신문은 이런 추세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자국에 공장을 지으라고 외국기업에 강력히 요구하는 것과는 다른 기류라고 비판했다.
중국 기업을 돕는 뉴욕 소재 컨설팅 기업 임팩트(iMpact)의 크리스 페레이라 CEO는 "중국 기업의 잘못이 없더라도 (반중 정서) 정치화로 인해 프로젝트가 지연·좌초될 수 있으며 농푸가 다음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인교준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