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대만 외교부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의 대만대표처 명칭 변경에 대응해 반도체 수출 제한을 검토하고 있다고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이 30일 보도했다.
옌자량 외교부 서아시아·아프리카사 사장(국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고 남아공 정부가 중국 압박에 굴복해 대만과의 오랜 우호 관계를 무시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남아공 정부가 지난 21일 관보를 통해 유엔 결의 2758호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잘못 인용해 남아공 대만대표처와 요하네스버그와 케이프타운의 대만판사처 명칭을 바꾼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외교부는 남아공 정부의 이러한 행동에 대해 주권과 국가 존엄성을 수호한다는 입장에 따라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며 남아공에 대한 반도체 수출 제한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옌 사장은 남아공 정부에 교섭을 촉구했으나 협상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대만은 1945년에 창설된 유엔의 창립 회원이었지만, 1971년 대만 대신 중국이 유엔에서 합법적 권리를 가진다고 결정한 결의 2758호에 따라 회원국 지위를 잃었다.
대만과 남아공은 미수교국 관계이며 상호 대표처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미수교 국가의 대표처는 사실상 대사관 또는 영사관 역할을 한다.
앞서 남아공 정부는 중국 압박에 수도 프리토리아에 있는 대만대표처 명칭을 상무판사처로 변경하고 요하네스버그로의 이전을 강요했다.
대만 외교부는 남아공 정부가 1996년 중국과 수교 의사를 밝힌 후 1997년 대만과 체결한 협정을 위반했다고 지적하며 이전하지 않겠다고 반발한 바 있다.
대만 언론은 대표처와 판사처의 의미가 정부 기관의 뜻이 있지만, 상무판사처는 경제·무역의 기능적 의미가 크다고 풀이했다.
한편 대만 수교국에 대한 중국의 단교 압박에 따라 현재 대만 수교국은 12개국으로 줄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철문
저작권자(c)>